다음달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 규제 도입을 앞두고 카드론이 지속적으로 불어나고 있다.
카드론은 기존엔
DSR을 적용받지 않았지만, 다음달 3단계 규제 때부터는 포함되기 때문에 대출 막차에 올라타려는 고객이 늘어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22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5월 9개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하나·우리·BC·NH농협카드)의 카드론 잔액은 42조6571억원으로 전달 대비 1566억원 늘어났다.
지난 4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한 것이다.
카드론은 기존에
DSR 규제 대상이 아니었다.
하지만 모든 가계대출에 1.5%의 스트레스 금리를 일괄 적용하는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 대상에 카드론과 현금서비스가 포함되면서 한도가 줄어들게 됐다.
앞으로는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모두 기존 대출과 합산해 전체 대출 한도가 정해진다.
이에 카드론을 추가 대출 수단으로 사용하던 차주들이 규제 적용 전에 최대한 대출을 받기 위해 카드론을 쓰면서 잔액이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카드론은 통상 중저신용자가 많이 이용했지만 최근 고신용자의 이용 건수도 증가했다.
대출 중개 핀테크 기업 핀다에 따르면 고신용자가 5월 4주 차(19~25일)에 카드론 한도를 조회한 건수는 5월 3주 차(12~18일)보다 30.7% 증가했다.
일각에서는 소비자들이 혼란을 겪는 가운데 틈새 영업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한 저축은행은 자사 앱을 통해 정책금융대출 '사잇돌2'를 홍보하며 "
DSR과 상관없이 신청이 가능하다"고 광고했다.
사잇돌2는
DSR 규제에 잡히지 않는 대표적인 상품이다.
1금융권 대출에 비해 요구 신용 수준이 낮아 '급전 자금'으로 선호받는다.
[박나은 기자 / 한상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