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당 평균 1785만원→4510만원
10년간 집값 상승률 1위는 성동구
 |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다세대 주택과 아파트단지 모습. (출처=연합뉴스) |
서울 아파트 매매가가 최근 10년간 2.5배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강동구,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이 상승세를 주도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던 영등포구의 강세가 두드러진다.
6월 18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3.3㎡당 평균 4510만원으로, 2015년 1785만원 대비 약 2.53배 상승했다.
상승액은 2725만원으로 전용 84㎡ 기준 아파트 한 채에 9억2650만원 오른 셈이다.
자치구별로 보면 상승폭이 가장 큰 곳은 성동구로, 3.3㎡당 평균 매매가가 1760만원에서 4998만원으로 2.84배 올랐다.
서초구(2.69배), 용산구(2.69배), 송파구(2.66배), 강남구(2.66배), 강동구(2.64배)가 그 뒤를 이었다.
이들 6개 지역 모두 최근 서울 집값 상승을 주도해온 주요 권역에 포함돼 있다.
이례적인 것은 영등포구다.
영등포구는 3.3㎡당 평균 매매가가 2015년 1636만원에서 올해 5월 4309만원으로 2.63배 상승, 마포구(2.5배)를 웃도는 오름폭을 보였다.
강남4구와 마용성을 제외한 지역 중 유일하게 서울 평균 상승률을 상회한 것이다.
개발이 더뎠던 영등포구는 신도림·당산·영등포역 일대 정비사업과 서울
서남권 교통 호재가 가시화하면서 가격이 급등세로 전환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강남권과 영등포 등 서울 아파트값 상승은 수년간 공급이 부족했던 지역의 가격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과정이며, 최근 정권 교체 이후 본격적인 상승 흐름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고 했다.
이어 “일부 단지는 신고가 거래가 속출하고 있으며,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호가를 올리는 등 움직임도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서울 집값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주택 수요자들의 시선은 신규 분양 단지에 쏠리고 있다.
구축보다 설계와 주거 여건 면에서 경쟁력을 갖춘 데다 향후 집값 상승 여력도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6월 말에는
대우건설과 두산건설 컨소시엄이 서울 영등포구 1-13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을 통해 ‘리버센트 푸르지오 위브’를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4층에서 지상 33층, 총 5개 동, 659세대 규모로 조성되며 이 가운데 175세대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