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성 예금증서(CD) 금리 중심의 지표금리를 무위험지표금리(KOFR)로 바꾸는 작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당장 오는 7월부터 이자율 스왑 거래를 연간 25조원 이상 하는 증권·은행 28곳은 전체 거래의 10% 이상을 KOFR로 진행해야 한다.

KOFR 사용 비율은 2030년까지 50%로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는 29일 '지표금리 개혁 추진계획 중간 점검'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올해 10월부터는 한국거래소에 중앙청산시스템도 도입된다.

기존 CD 금리는 거래량이 부족한 데다 시장금리 변동을 적시에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KOFR은 한국예탁결제원이 산출·공시하는 국채·통안채 담보 익일물 환매조건부채권(RP) 금리다.

올해 들어 4월까지 발행된 5조200억원 규모 변동금리채권 중 29%인 1조4700억원이 KOFR 변동금리채권이었다.


[이용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