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이 바닥을 찍고 있지만 키즈 산업 시장은 승승장구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키즈 산업 시장은 지난 2023년 50조원대로 성장하며 몸집을 키우고 있다.

골드 키즈(귀하게 키우는 외동 아이), 텐 포켓(한 아이를 위해 부모뿐 아니라 조부모, 친인척 등 10명이 지갑을 여는 현상) 같은 신조어가 나올 만큼 자녀에게 아낌없는 지원을 하는 부모들의 소비 성향도 사회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관련 시장이 커지면서 경기 침체로 고전 중인 패션업계 역시 키즈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돌파구를 찾는 모습이다.

특히, 키즈 패션은 단순 아동복이란 의미를 넘어 가족이 함께 입고 즐길 수 있는 패밀리 라이프스타일 카테고리로 확장 중이다.

성인 패션 브랜드 고유의 정체성과 감도를 유지하면서 패션으로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아동의 수요를 모두 잡도록 키즈 라인을 새롭게 론칭하거나 오프라인에서의 경험 확대를 노리는 전략을 구사한다.


나우(nau) 키즈 라인 화보(사진 출처 나우)
서스테이너블 라이프웨어 브랜드 ‘나우’는 최근 7세부터 10세까지 아이들을 위한 키즈 라인을 새로 선보였다.

아노락 재킷, 셔츠, 바지, 원피스 등 한여름까지 시원하게 착용할 수 있는 의류 아이템으로 구성됐다.

성인 라인과 동일하게 지속 가능한 공법과 소재, 유행을 타지 않는 미니멀한 디자인을 적용했다.


특히, 나우는 키즈 라인 론칭과 함께 패밀리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캐리마켓’ 온라인몰 및 신사점에 입점해 소비자와의 접점 확대에도 나섰다.

트렌디하고 감각적인 제품을 찾는 소비자 사이에서 입소문을 탄 편집숍에 입점해 나우 키즈만의 제품 경험을 전달한다는 계획이다.


캉골키즈
테크니컬 애슬레저 브랜드 ‘안다르’는 지난 3월 프리미엄 키즈 애슬레저 안다르 키즈를 전격 론칭해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패밀리 애슬레저 브랜드로의 외연 확대에 나섰다.

에이션패션도 ‘프로젝트 키즈’를 지난달 공식 론칭했다.

성인 라인인 프로젝트엠과의 시너지 효과로 부모들과 자녀들이 함께 연출하고 즐길 수 있도록 제품을 다양하게 구성해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팝업 스토어, 크루 모집 등 오프라인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에 나선 브랜드도 있다.

‘캉골키즈’는 열흘 동안 대구 신세계백화점에서 2025 봄 모자 팝업 스토어를 운영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모자 신상품 매출이 10배 이상 뛰었다.


[ 배윤경(매경 AX) 기자] [사진 각 브랜드]
[본 기사는 매일경제 Citylife 제981호(25.05.27)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