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이 누구든 금융사 서비스를 쉽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형 서비스형뱅킹(BaaS) 사업에 나선다.

서비스형뱅킹은 비금융사가 자사 앱에서 금융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솔루션이다.


은행이 비금융사와 일대일로 협력을 논의하는 종전 방식을 넘어 어떤 기업이든 우리은행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영토 확장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자원과 인지도가 부족해 금융사와 협업할 엄두를 못 냈던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오픈형 서비스형뱅킹 도입에 속속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최근 오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고도화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우리은행의 금융 서비스를 여타 기업이 자사 앱에 탑재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공개하는 것이 핵심이다.


우리은행 서비스형뱅킹은 외부 기업이 우리은행 플랫폼에 접속하기만 하면 자사 앱에 적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숙박시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 호텔 예약 기능과 우리은행 결제 시스템을 연동할 수 있다.

이 기업은 자사 앱에서 결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결제대행업체(PG), 카드사 등과 복잡한 계약을 체결하는 대신 우리은행 서비스형뱅킹 플랫폼에 접속함으로써 결제 체계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우리은행은 유통과 핀테크, 제조, 부동산 등 다양한 업종의 기업과 협업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용진 우리은행 신사업제휴플랫폼부 부부장은 "대기업과 우리은행이 협업에 성공한 서비스형뱅킹 모델을 또다시 활용해 중소기업으로 확장하는 식의 폭넓은 협업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우리은행이 세부 고객군을 정밀하게 조준하는 방식의 서비스형뱅킹을 내놓으면서 관련 시장에 진출하려는 금융권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창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