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서 카드 없이도 현금 출금”…금융결제원, 편의성 높인 서비스 준비

박종석 금융결제원장이 6일(현지 시각)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한국은행 출입기자단과 만나 소액지급결제서비스의 국가간 연계를 위한 허브시스템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금융결제원 제공]

“우리나라 여행객들이 해외에서 핸드폰이나 카드 없이도 결제하는 편의성을 높인 해외결제시스템을 준비하고 있다.


금융결제원이 올해 인도네시아에서 핸드폰의 큐알(QR)만으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지급결제 시스템을 마련한다.

추후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다양한 소액지급결제서비스 연계를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박종석 금융결제원장은 6일(현지 시각)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기자들과 만나 소액지급결제서비스의 국가 간 연계를 위한 허브시스템의 추진 상황 등을 설명했다.


박 원장은 “국가 간 소액지급결제 서비스는 카드를 안 들고 다니더라도 해외에 나갔을 때 핸드폰으로 물건을 사거나 결제할 때 편하게 이용하는 것”이라며 “QR만으로 카드 없이 현금입출금기(ATM)에서 통화를 인출하는 환경을 만드는 일이다”고 말했다.


지금까지는 글로벌 카드사가 이 역할을 했지만, 이제는 금융결제원이 지급결제 시스템을 직접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박 원장은 “인도네시아의 대표 결제기관과 시스템을 직접 연결해 확장성도 가지고 있다”며 “이를 위해 양 국가 간 협력뿐만 아니라 금융기관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금융결제원은 모바일 인증을 높이는 등 보안성을 강화하는 트러스트원(TrustOne)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가령 모바일을 해킹당하면 그 안에 있는 모든 정보를 해킹당한 셈이다 보니 결제 때 위험이 있어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기존 일회용 비밀번호(OTP) 방식과는 다른 모바일기기와 분리된 신용·체크카드를 모바일과 연계해 인증하는 ‘매체분리’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박 원장은 “카드의 IC칩을 담아서 태깅(Tagging)만 하면 암호가 그대로 핸드폰에 전달돼 인증이 통과되는 것을 디자인하고 있다”며 “아직은 준비 단계로 카드사나 은행 금융기관 및 다른 금융사와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금융결제원은 국내 소액지급결제시스템을 운영하는 만큼 해외지급결제기관과 국내 금융회사·핀테크를 연계하는 허브시스템을 만들고 있다.

이를 통해 해외 QR결제, CardlessATM 등의 모바일 기반 소액지급결제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더불어 인프라를 통해 금융회사와 핀테크들이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도울 예정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