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한국 증시의 고질적인 저평가 원인으로 꼽혀온 중복상장 문제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정부가 기업 밸류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대기업들의 잇따른 자회사 상장이 투자자 신뢰를 흔들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현연수 기자입니다.


【 기자 】
국내 증시에 상장된 대기업들이 자회사까지 따로 상장하는 중복상장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이런 구조는 모회사의 가치를 희석시켜 결국 투자자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LG CNS 상장 때 모회사 LG의 주가는 소폭 하락했고, 자회사 상장이 주가에 악영향을 준다는 우려가 시장에 퍼졌습니다.

SK그룹은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에 이어, SK온과 SK엔무브의 상장도 추진 중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도 체코 자회사 스코다파워를 상장하는 등 주요 그룹마다 중복상장이 확산되는 분위기입니다.

IBK투자증권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중복상장 비율은 18.4%로, 미국의 0.35%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문제는 투자자 보호 장치가 미비하다는 점입니다.

현행법상 중복상장을 제한하는 조항이 없고, 금융당국도 연성 규제에 그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법적으로 규제하더라도 기준을 만들기는 쉽지 않다고 말합니다.

▶ 인터뷰(☎) : 김용진 / 서강대학교 교수
- "밸류업을 할 때 밸류업의 핵심 지침으로서의 그런 가이드라인 같은 것들을 만들 수가 있죠. 그런데 밸류업이 상관 없다고 하면 전혀 상관이 없는 일이 되는 것이고…이게 매우 제한적이에요. 할 수 있는 수단들이…"

자발적으로 중복상장을 해소한 사례도 있습니다.

동원산업은 자회사 동원F&B를 흡수했고, 메리츠금융그룹도 지주사 중심으로 구조를 개편했습니다.

정부의 밸류업 정책이 시장 신뢰 회복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중복상장처럼 구조적 문제부터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현연수입니다.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