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3월 폐업신고 160곳
전년 134곳比 12% 증가
환율 상승에 수입자재값 껑충
공사비 상승 압박 가중
 |
신축 아파트 공사현장 [이승환 기자] |
건설업계의 ‘4월 위기설’이 현실화되는 모습이다.
고환율과 경기 침체, 미분양 주택 적체로 인한 고통이 갈수록 가중되고 있어서다.
올해 들어 중견건설사들의 법정관리 신청도 잇따르고 있다.
8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폐업을 신고한 종합건설업체는 총 160곳으로, 이는 전년 동기(134곳) 대비 12% 증가한 수치다.
1분기 기준 2020년 이후 최대 규모로 하루 평균 1.8곳의 건설사가 문을 닫은 셈이다.
전문건설업체 폐업까지 포함하면 630건이 넘는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37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31건, 인천 13건, 전북 10건, 제주 10건 순으로 집계됐다.
폐업 사유는 대부분 ‘사업 포기’였다.
건설업 전반의 업황 축소와 공사 수주 물량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설상가상 환율도 오르고 있다.
지난 7일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7.9원 급등한 1462.0원에 개장했으며, 장중에는 1471원대까지 뛰었다.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이다.
수입 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공사비 상승 압박도 거세다.
업계는 공사비 압박 상황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건설자재의 원재료는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수입자재는 연간 또는 반기 단위 계약이 많아 환율 상승의 영향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기 때문이다.
부동산 시장도 좋지 않은 상황이다.
국토교통부의 주택 통계를 보면 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61가구로 집계됐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3722가구로 전월 대비 3.7% 늘었다.
이는 19개월 연속 증가세다.
이 가운데 약 80%(1만9179가구)가 비(非)수도권에 몰려 있다.
중소형건설사뿐만 아니라 시공능력평가 상위권에 속한 기업들조차 높은 부채비율로 인해 재무적 압박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환율 안정화와 금리 인하 등 정부의 정책적 대응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이번 위기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고환율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은 경기 둔화 가속화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결국 민간 건축시장을 중심으로 침체가 장기화될 우려가 크다”고 진단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