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푼 39일의 기록...‘잠삼대청’ 아파트 거래량 3.6배 ‘폭증’

부동산 플랫폼 직방 분석
잠실동 대장 ‘엘·리·트’ 주도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출처=연합뉴스)
서울시가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한 후 해당 지역에서 아파트 매매 거래가 3배 넘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4월 7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다음 날인 2월 13일부터 확대 재지정 직전 3월 23일까지 39일간 서울 전체 매매 거래량은 9665건(4월 4일 기준)이다.

이는 해제 발표 직전 같은 기간(1월 4일~2월 11일, 39일) 거래량(4559건) 대비 약 2.1배 많다.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39일간 규제 대상 지역 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353건으로 해제 직전(99건)보다 3.6배 이상 많았다.


신고가 경신 거래도 증가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직전 39일간 13건이던 잠삼대청 지역 신고가 거래는 해제 이후 84건으로 약 6.5배 늘었다.

같은 기간 서울 전체 신고가 경신 사례가 362건에서 839건으로 2.3배가량 늘어난 것에 비해 두드러지는 수치다.

다만 아직 실거래 신고 기한이 남아 있어 최종 거래 건수는 바뀔 수 있다.


규제 해제 대상 지역 중에선 잠실동에서 가장 많은 거래가 이뤄졌다.

39일 동안 잠실동에서 총 135건의 아파트가 거래됐다.

단지별로 보면 대장 아파트인 ‘엘·리·트’에서 가장 많은 거래가 이뤄졌다.

리센츠가 38건, 잠실엘스가 34건, 트리지움이 30건이다.


이어 삼성동 86건, 대치동 71건, 청담동 61건 순이다.

삼성동은 삼성동힐스테이트1단지가 16건, 대치동은 대치현대 10건, 청담동은 청담자이 11건 등 순으로 거래됐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재지정된 지 2주가 지났는데 이번 규제로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단기적으로 거래가 쪼그라들 것”이라면서 “대출 규제 및 세제 강화 조치가 다시 적용되면서 매수자의 관망 심리가 짙어지고 있고 시장은 눈치 보기 장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도 “단기적으로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상급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날 여지도 있다”며 “이번 조정이 일시적인 숨 고르기에 그칠지, 아니면 추세적 전환으로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