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보험시장에서 텔레마케터(TMR)를 대상으로 고액 연봉을 내건 스카우트 전쟁이 펼쳐지고 있다.


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외국계 A생명보험사는 한 텔레마케팅 설계사 센터장에게 시책(판매수수료 외의 추가 인센티브)으로 일시금 1억원, 2년간 월급 4000만원을 포함한 총 10억원의 급여를 약속했다.

해당 센터장을 따라 설계사 200여 명이 동시에 A생보사로 이적했다.


또 다른 외국계 생보사 B사의 자회사형 보험대리점(GA)인 C사는 텔레마케팅 센터장 5명을 영입하면서 2년간 매월 2000만원, 총급여 4억8000만원을 각각 보장했다.

해당 센터장을 따라 수십 명이 새 GA로 소속을 옮겼다.


보험업계에서는 텔레마케터 영입전이 활발해지면서 보험료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보험 텔레마케터는 영업관리자가 다른 회사로 이동할 때 소속 TMR까지 함께 이적하는 게 일반적이어서 보험사도 한 번에 대규모 지출을 하게 된다.


텔레마케터가 대규모로 이동하면 고객 계약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설계사가 떠난 뒤 고객 계약이 방치되면 소비자는 사고가 발생해도 제때 보험금을 받기 어려울 수 있다.

설계사가 기존에 관리하던 고객에게 새로운 회사의 보험에 가입시키는 '승환계약'때 불완전판매 가능성도 있다.


보험 텔레마케터 영입을 위한 '쩐의 전쟁'은 규제 사각지대에서 이뤄지고 있다.

설계사에게 보험 계약 첫해에 지급하는 판매 수수료를 월 납입 보험료의 1200% 이내로 제한하는 1200%룰은 아직 GA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개입이 필요해 보인다"고 전했다.


[박창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