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속된 전 대표도 수십억 상여…‘돈방석’ 코인거래소 임직원들

빗썸, ‘구속’ 이상준 전 대표에게 총 47억 지급
두나무 송치형, 배당 포함 1100억 넘게 받아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지난해 실적 호조로 수십억원의 상여금을 지급하는 ‘돈 잔치’를 벌인 가운데 빗썸은 구속된 전 대표에세도 수십억을 준 것으로 드러났다.

(출처=연합뉴스)

국내 대형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지난해 실적 호조에 힘입어 임직원에게 수십억 원의 상여금을 지급하는 등 ‘돈 잔치’를 벌인 가운데, 빗썸은 구속된 이상준 전 대표에게도 수십억 원을 준 것으로 드러났다.


4월 3일 빗썸의 사업보고서 공시에 따르면 이 전 대표는 지난해 빗썸에서 상여금 20억원, 퇴직소득 22억3700만원, 급여 4억6600만원 등 총 47억400만원을 받았다.


이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26일 열린 1심에서 배임수재 등 혐의로 징역 2년과 추징금 약 5000만원을 선고받았다.

그는 지난 2021년 “ A 코인을 빗썸에 상장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현금 30억원, 명품 시계, 고급 레스토랑 멤버십 카드 등을 받은 혐의로 기소됐다.


이 전 대표는 2018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빗썸의 최대 주주인 빗썸홀딩스의 대표를 지냈다.

빗썸에선 2018년 1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사내이사를 맡았다가 임기 만료 후에는 사장으로 자문업무를 수행했고, 구속 당일 퇴사 처리됐다.


빗썸은 이 전 대표가 회사의 성장을 이끈 공로를 인정해 상여금을 지급했다는 입장이다.


빗썸은 실소유주인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빗썸 이사회 의장에게도 상여금 10억원을 줬다.

이 전 의장은 현재 빗썸홀딩스 사내이사이자, 빗썸에서 서비스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는 배당과 상여 등으로 임직원에게 거액을 지급했다.


두나무 최대주주 송치형 의장은 지난해 임금과 배당으로 1100억원 넘게 받았다.

보수로 62억244만원(급여 29억644만원·상여 32억9600만원), 배당으로 약 1042억원을 받았다.

송 의장은 두나무 주식 889만6400주(25.53%)를 보유하고 있다.


두나무 2대주주(13.11%) 김형년 부회장은 보수 42억1480만원(급여 21억5880만원·상여 20억5600만원)과 배당 약 535억원을 합해 약 577억원을 받았다.

이석우 대표는 21억6346만원(급여 8억2530만원·상여 약 13억1801만원·기타 근로소득 2016만원)을 받았다.


직원들의 임금도 크게 올랐다.

두나무의 지난해 직원 1인 평균 급여액은 1억9907만원으로 2억원에 가까웠다.

전년(1억1633만원)보다 71.1% 오른 금액이다.

빗썸의 직원 평균 급여는 2023년 9900만원에서 지난해 1억1600만원으로 늘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