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들 과도한 리스크 추구 경향 있어”
“최근 美 증시 부정적 전망…위험 분산 투자해야 ”
 |
서울 중구 한국은행.(사진=연합뉴스) |
한국은행이 미국 증시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 ‘서학개미’들에게 분산투자할 것을 제안했다.
26일 한국은행 국제국 해외투자분석팀 이재민 과장·장예진 조사역은 한국은행 블로그에 “서학개미, 이제는 분산투자가 필요할 때”라는 글을 게시하고 “미국 대형 기술주 ‘매그니피센트 7’(M7)과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등 일부 종목에 대한 편중을 줄여야 한다”고 경고했다.
국내 개인투자자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해외주식 투자를 급격히 확대했다.
해외주식투자 잔액이 2019년 말 152억달러에서 2023년 말 1161억달러로 늘었다.
5년 만에 7.6배 증가한 규모다.
투자 대부분은 미국 주식시장에 집중됐다.
개인투자자 해외 포트폴리오 중 미국 주식 비중은 2019년 말 58.2%에서 2023년 말 88.5%, 올해 3월18일 기준 90.4%까지 높아졌다.
개인투자자 보유 상위 50위 종목 중에서 미국 상장종목이 96.5%였다.
투자 상위 10개 종목에는 테슬라, 엔비디아, 애플, 구글 등과 나스닥100·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포함됐다.
테슬라가 전체 개인투자자 해외투자 잔액의 14.7%, 엔비디아는 10.5%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1·2위를 차지했다.
나스닥100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TQQQ)’도 2.4%를 차지하며 6위에 올랐다.
이 팀장은 “테슬라 및 엔비디아 등 개별 종목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종목에도 투자하는 등 우리나라 투자자가 다른 나라에 비해 과도한 리스크 추구 성향을 보이고 있다”고 짚었다.
이같은 투자 성향은 미 주식시장이 부진할 때 지수 변동치보다 몇 배에 달하는 손실을 입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2022년 미국이 금리를 가파르게 올리면서 S&P 지수가 19.4% 하락했을 때 국내 개인투자자들의 해외주식 수익률은 -35.4%로 폭락했다.
같은 시기 전체 투자자 수익률(-19.2%)과 비교하면 2배 큰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미 관세정책 우려로 주가가 하락했음에도 개인투자자는 미국주식을 대거 사들였다.
지난달 19일부터 이달 18일까지 개인투자자는 45억달러를 순투자했는데, 이 중 M7에 8억달러, 주요 레버리지 ETF에 16억달러를 투자했다.
불확실성이 증대된 상황에서 손실을 입었을 경우 만회하기 위해 자금을 오랫동안 들고 있어야 한다.
분석에 따르면 2022년처럼 연간 -40% 손실을 본 후 S&P500 ETF에 투자해 원금을 회복하려면 최소 8.6년이 걸렸다.
그러나 이 또한 ETF 수익률이 연평균 수익률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는 전제하에서만 가능하다.
이 팀장은 “따라서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투자이익을 쌓아가기 위해서는 M7, 레버리지 ETF 등 일부 종목에 대한 과도한 편중을 줄이고 분산투자를 통해 위험을 분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