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시기에 몰리지 않아 복수 지원 가능”
 |
취업준비생 10명 중 6명이 공채보다 수시 채용을 선호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출처=사람인) |
상반기 채용 시즌이 본격적으로 막을 올린 가운데, 취업준비생 10명 중 6명이 공채보다 수시 채용을 선호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12일 나왔다.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이 신입 구직자 693명을 대상으로 ‘공개채용과 수시채용 중 선호하는 채용 형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3.5%가 ‘수시채용’을 택했다.
전공별로는 의약학계열(70.6%), 예체능계열(68.5%), 이공학계열(61.9%), 인문사회계열(61.7%), 경상계열(57%) 순으로 수시채용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74.8%), 2·3년제 전문대졸(70.8%), 대학원 이상(64.5%), 4년제대졸(57.1%) 순으로 수시채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이 올해 511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0.8%가 수시채용을 활용한다고 답할 정도로 수시채용이 대세가 된 가운데, 구직자들도 수시 채용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모양새다.
구직자들이 수시 채용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특정 시기에 몰리지 않고 지원이 가능해서’가 68.2%(복수응답 가능)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이어 ▲필요 시 채용해 TO가 많을 것 같아서(33%) ▲스펙보다 직무 역량을 중점 평가할 것 같아서(32.3%) ▲직무별로 준비해야 할 점이 명확해서(31.6%) ▲전공 관련 직무 채용이 늘 것 같아서(19.1%) ▲체계적인 커리어 발전이 가능할 것 같아서(11.6%) 등 순이다.
반면 공개채용을 선호하는 응답자들(253명)은 그 이유로 ‘시즌이 정해져 계획적인 준비가 가능해서(66%)를 가장 많이 꼽았다.
▲대규모 채용으로 TO가 많을 것 같아서(54.5%) ▲취업 준비 방법이 정형화돼 있어서(39.5%) ▲공통 직무 등 포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폭이 넓어서(29.2%) ▲공개된 일정과 프로세스로 채용 비리가 적을 것 같아서 등이 뒤를 이었다.
사람인 관계자는 “공개채용은 시기를 예측할 수 있고, 수시채용은 특정 시기에 과도하게 몰리지 않아 복수 기업에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 등 채용 형태마다 저마다의 장점이 있다”며 “최근 일부 기업들이 공개채용과 수시채용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예측 가능한 수시 채용’을 선보이는 등 채용 형태도 시장의 변화에 따라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