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과 관련된 문화유산을 소장 중인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오늘(1일) 화재가 발생해 소방당국이 완전히 불을 끄는 데 7시간 가까이 걸렸습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화재는 오늘 오전 8시 40분쯤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화재 발생 50분 만에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장비 76대와 인력 262명을 투입했습니다.
큰 불길은 낮 12시 31분께 잡았지만, 건물 내에 쌓인 가연물을 들어내고 잔불 등을 정리하는 데 시간이 걸려 화재 발생 6시간 42분 만인 오후 3시 22분이 돼서야 완전히 진화할 수 있었습니다.
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4층 건물인데 불은 전시실로 운영되는 3층에서 시작돼 4층으로 번졌습니다.
소방당국은 증축공사 현장에서 철근을 자르기 위해 용접작업을 하다가 불티가 튀어 화재가 시작됐을 수 있다고 보고 정확한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소방당국은 증축공사가 진행 중이었던 상황에서 건물 내 스프링클러와 제연설비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했는지 여부도 살펴볼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해 용산소방서 관계자는 "현재까지 스프링클러는 (작동이) 중지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불을 끄는 과정에서 건물 내부로 진입했던 소방
대원 1명이 딛고 선 작업 발판이 빠지면서 2m 아래로 떨어지고 철근 낙하물에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또 박물관 안에 있던 작업자 2명이 구조됐고 4명이 대피했습니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증축공사로 휴관 중이었기 때문에 관람객이 없어 추가 인명피해가 발생하지는 않았습니다.
화재로 박물관 3층과 4층이 전소됐지만, 문화유산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증축공사를 시작하면서부터 문화유산 등을 수장고에서 별도로 관리 중인 박물관은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국가 지정문화재급 소장품 257점을 인근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겼습니다.
나머지 소장품도 훼손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 진현진 기자 / 2jin@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