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사태에 환율 방어선 위태
외환·금융위기 이후 첫 ‘위기 환율’
|
[사진 = 연합뉴스] |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정국 여파가 장기화 하면서 금융시장 위기론이 확산하고 있다.
특히, 원달러 환율의 단기 저항선이 1400원선에서 1450원까지 밀리며 ‘환율 공포’가 시장을 짓누르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지난 1997~1998년 외환위기, 2008~2009년 금융위기 때를 제외하면 경험해 보지 못한 것이다.
1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0.1원 오른 1432원을 출발했다.
이번주 내내 원달러 환율은 1430원선에서 등락을 거듭했는데 시장에선 1450원, 더 나아가 1500원까지 찍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환율이 마지막으로 1500원대를 기록한 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한창이던 지난 2009년 3월 10일이다.
이와 관련 노무라증권은 “내년 2분기에 원화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며 “내년 5월 말까지 원달러 환율을 1500원 타깃으로 달러 매수를 추천한다”고 제시했다.
복수의 금융권 관계자는 “원달러 환율의 1400원대 고착화 조짐이 점점 더 뚜렷해지고 있다”면서 “당초 환율 상단을 1450원선으로 봤는데,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1450원을 넘어 설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정국 불안 장기화로 고환율 상황이 지속할 경우 우리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
[사진 = 연합뉴스] |
환율이 상승 압박을 더 받아서 외환당국이 공격적으로 시장개입에 나설 경우 외환보유액이 대규모로 감소할 수 있다.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153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외환보유액은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지난 2022년 5월 이후 지난달 말까지 300억 달러 이상 줄었다.
규모만 놓고보면 지난 10월 말 기준으로 중국, 일본, 스위스, 인도, 러시아, 대만, 사우디아라비아, 홍콩에 이어 세계 9위 수준이다.
만약 원환율이 1450원을 넘어서 1500원을 넘나들 경우 금융당국이 외환보유고를 헐어 시장 개입에 나서면서 그 규모가 4000억 달러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 등으로 상황별 대응 계획(컨틴전시 플랜)을 가동할 예정이지만 단기처방으로 환율 방어가 가능할지도 현재로선 미지수다.
|
[사진 = AP 연합뉴스] |
더욱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내년 1월 20일 취임을 앞두고 미국이 한국을 ‘환율관찰 대상국’으로 재지정해 바짝 긴장해야 하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한 단계 높은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만약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무역흑자 시정 등으로 수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면서 “1년이 지나도 개선되지 않으면 미국 기업의 투자 제한과 미 연방정부 조달계약 체결 제한, IMF에 추가적인 감시 요청 등의 제재 조치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경제·금융 불확실성 제거를 위해서라도 탄핵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혀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이복현 금감원장. [사진 = 뉴스1] |
이 금감원장은 한 언론사 인터뷰를 통해 “금융시장 안정이 지금 핵심적인 제 역할”이라며 “(원달러 환율 고공행진이) 추세적으로는 정리가 될 텐데, 급격하게 오르거나 너무 빨리 떨어지는 등 지나친 변동성을 관리하거나 그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뭐가 뭣보다 낫다는 게 아니라 불확실성 제거가 지금 시점에 절실하다는 것”이라며 “우리 금융에서의 외생변수에 대한 분석이지 탄핵을 지지하냐, 반대하느냐와는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