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日도 철도지하화 2~5km만 진행”...4대강 교훈 삼아 정치적 목소리부터 배제해야 [기자24시]

용산국제업무지구와 연계한 복합 개발이 예상되는 용산역 일대 <매경DB>
서울시가 서남권에서 도심을 잇는 지상철도 전 구간 약 68㎞를 지하화 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철도로 인한 도심 단절과 주변 지역 슬럼화 해소 등이 목적인 철도 지하화는 서울의 오랜 숙원사업이었다.


사업비와 규모로 볼때 강북 뉴타운 개발 이후 최대 규모 도심 대개조 사업이다.

규모가 큰 만큼 걱정부터 들었던 게 사실이다.

재원과 사업성이 뒷받침 되면 못할 건 없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철도용지는 역 주변이나 복선 구간 등 비교적 넓은 곳을 제외하곤 대부분 좁고 기다란 ‘선형’이다.

이 땅을 매력적으로 재포장해 민간에 팔아야 개발이익으로 사업비 회수가 가능하다.

그런데 미국 일본 등 도시개발 역사가 우리나라보다 긴 곳에서도 철도 지하화는 차량기지 주변 등 단거리 구간(2~5㎞)에서만 주로 진행했다.


서울시는 이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사·역세권 복합개발’이라는 대안을 들고 나왔다.

역사 용지를 초고층 복합개발을 통해 개발이익을 환수해 25조6000억원에 달하는 지하화 비용을 충당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시가 지하화 한다고 밝힌 철도 구간 중 철도역은 32곳에 달한다.


철로가 지하화 된 이후 생기는 땅은 소음과 진동 문제가 있다.

방음방진 설계와 기초공사를 하다보면 서울시 계산보다 훨씬 큰 사업비로 불어날 가능성이 높다.


결국 철도 지하화는 사업성과 필요성 등을 철저히 따져서 선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MB정부때 4대강 사업도 수질개선, 홍수방지와 친수공간 조성이라는 좋은 취지가 있었다.

그러나 정권내 결과를 도출하기위해 한꺼번에 속도전을 하다 결국 사달이 났다.

서울시내 6개 전구역을 지하화하겠다는 발표는 오세훈의 대권프로젝트 가동 느낌이었다.


규모와 속도보단 내실이 더 중요하다.

무엇보다 서울시 등 지자체에게 계획을 받아서 연말 선도지구를 발표할 국토교통부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경제성보다 정치적 목소리가 큰 곳이 뽑히는 상황은 절대 피했으면 한다.


손동우 부동산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