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10주 받으면 시초가에 9주 팔 수 있다’…외국인에 유리한 공모주 시장

17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코스닥 지수,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기업공개(IPO) 시장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라면 한 번쯤 공모주 시장은 외국인 놀이터라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공모주 시장에서 외국 기관과 국내 기관의 의무보유 확약 비율과 공모주 배정에 차이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외국 기관 확약 비율 10%대 그쳐…국내 기관은 절반 이상
17일 매경닷컴이 지난 2021년부터 7월부터 지난달까지 ‘대어급’으로 정의할 수 있는 공모 규모 2000억원 이상 공모주의 수요예측 참여 내역과 배정 결과를 정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기관의 신청 물량이 93.64%, 배정 비율이 63.69%로 집계됐다.


이에 반해 외국 기관의 신청 물량은 전체 기관 신청 수량 중 평균적으로 6.36%에 불과했지만 전체 기관 배정 수량 중 평균적으로 36.31%를 배정받았다.


이를 두고 시장 관계자들은 외국 기관이 신청 수량 대비 배정 수량 측면에서 국내 기관보다 차별적으로 유리하게 대우받고 있다고 지적한다.


문제는 의무보유 확약 기준이다.

의무보유 확약이란 기관투자자가 신규 상장하는 기업의 공모주를 일정 기간 이상 팔지 않고 보유하는 것을 의무화한 제도다.

확약 기간은 공모주마다 차이가 있지만 통상 6개월에서 1년 정도다.


조사결과 외국 기관은 배정 수량을 기준으로 평균 88.90%가 미확약이며 확약 비율은 평균 11.10%에 그쳤다.

외국 기관이 공모주 10주를 받게 될 경우 9주는 시초가에 팔 수 있는 셈이다.


국내 기관의 확약 비중 56.00%보다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다.

외국 기관이 국내 기관 대비 훨씬 낮은 확약 비율로 공모수요 예측에 참여하고 있다는 의미다.


금융감독당국은 기관투자자들의 장기 투자로 시장의 혼란을 막기 위해 일정 기간 공모주를 의무 보유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배정 물량을 더 많은 외국 기관에 미확약 비중까지 더 높게 가져가고 있다는 점에서 합리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장 하반기 케이뱅크와 더본코리아 등 대형 공모주들이 출격을 앞두고 있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장 당일 미확약 비중이 높은 외국 기관이 시초가에 물량을 대거 던질 경우 상장 당일 주가 급락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전 세계서 ‘의무보유 확약’ 국내 유일
이같이 미확약 배정 비중을 두고 외국과 국내 기관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것은 국가 간 제도 차이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공모주를 일정 기간 보유해야 하는 의무보유 확약 기간 자체에 대한 제도가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가 유일해서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대형 딜의 경우 외국계 증권사가 현지에서 물량을 조달하기 위해 외국계 증권사를 한 곳씩 끼게 된다”며 “외국계 증권사와 이후 물량을 배정받는 외국계 기관 모두 의무보유 확약에 대한 개념 자체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국제적 정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는 전문가의 의견도 나온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자본시장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제도들은 국제적인 정합성을 유지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 요소다.

전 세계 글로벌 자본시장들이 다 경쟁 관계에 있기 때문”이라며 “(의무보유 확약과 관련해) 글로벌 스탠다드와의 조금 차이가 있다는 판단을 내리게 된다면 향후 이 제도를 어떤 식으로 변화시킬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