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 공급절벽 ◆
서울 마포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이 모씨(33)는 최근 주말마다 부동산 임장(현장조사)을 다니고 있다.

내년 초 전세 만기를 앞두고 매매를 고려하고 있다.


문제는 최근 서울 아파트값 오름폭이 커졌다는 점이다.

이씨는 "마포구 단지들은 작년에 문의했던 것보다 적어도 1억~2억원은 오른 듯하다"며 "새 아파트 공급이 줄어든다니 상황이 더 심각해질까 걱정"이라고 했다.


최근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쌍끌이'로 오르는 가운데 내년으로 갈수록 입주 물량 급감이 예고돼 정부 차원의 공급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입주 물량이 줄어들면 전셋값이 뛰고, 이는 집값을 다시 밀어올려 시장이 불안해질 위험이 커진다.


16일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확보한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전국 공동주택(30가구 이상) 입주 예정 물량은 17만2843가구로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19만1575가구)보다 9.8% 줄어든 수치다.

내년 입주 예정 물량은 더욱 좋지 않다.

내년 상반기 16만82가구, 하반기에는 11만5101가구뿐이다.

내년 말이면 입주 물량이 올 상반기의 60% 수준까지 급감한다는 뜻이다.

수도권은 올해 상반기 9만2334가구에서 하반기에 8만6340가구로 6.4% 줄어든다.

내년 상반기는 7만9536가구, 하반기에는 5만5871가구로 급감한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내년까지 보면 전반적으로 물량 축소 경향이 강하다"고 분석했다.


주택 공급 절벽 경고등은 이뿐만이 아니다.

정부가 2023년부터 올해까지 주택 100만가구(인허가 기준)를 공급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실적은 절반에 그쳤다.


정작 정부는 낙관한다.

최근 수도권에서 급증하는 거래가 실수요자 위주이고, 수요층이 한정돼 있어 집값 상승에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입주 물량이 계속 줄고 전세가격이 불안정하면 상황은 달라진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실거주장에 다주택자의 갭투자(전세 끼고 매수) 등 투자 수요가 동반되면 시장이 불안해질 위험이 높다"며 "서울·수도권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이 60%를 넘으면 투자 수요도 유입된다"고 입을 모았다.


[이희수 기자 / 손동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