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회 위원장 (연합뉴스)
▲CEO 오늘

카카오의 'SM 시세조종'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주가 조작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회 위원장을 9일 소환했습니다.

지난해 11월 15일 금융감독원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김범수 위원장을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하고 약 8개월 만의 첫 소환 조사입니다.

이날 김 위원장은 취재진을 피해 비공개로 출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범수 위원장은 지난해 2월 SM엔터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경쟁사인 하이브의 공개매수를 방해하기 위해 SM엔터 주가를 하이브의 공개매수가인 12만원보다 높게 설정·고정할 목적으로 시세조종을 벌인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검찰은 카카오가 2월 16∼17일과 27∼28일 합계 약 2천400억 원을 동원해 SM엔터 주식을 장내 매집하면서 총 553회에 걸쳐 고가에 매수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금융당국에 주식 대량 보유 보고를 하지 않은 혐의도 추가됐습니다.

앞서 검찰은 같은 혐의로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와 카카오 법인을 먼저 재판에 넘겼습니다.

배 대표는 자본시장에서의 자유로운 경쟁이었고 불법성이 없다며 혐의를 부인했습니다.

카카오 측과 공모해 펀드 자금 1천100억 원으로 SM주식을 고가 매수한 혐의를 받는 사모펀드 운용사 원아시아파트너스 대표 A씨도 지난 4월 구속기소했습니다.

금감원 특사경은 작년 11월 김범수 위원장을 검찰에 넘기면서 홍은택 대표, 김성수·이진수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각자 대표이사 등도 기소 의견으로 송치했습니다.

하이브카카오는 지난해 초 SM엔터 인수를 둘러싸고 서로 공개매수 등으로 분쟁을 벌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하이브가 "비정상적 매입 행위가 발생했다"고 주장하면서 시세조종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카카오카카오엔터는 공개매수 등을 통해 SM엔터 지분을 39.87%(각각 20.76%·19.11%) 취득해 최대 주주가 됐습니다.


▲경영 활동의 평가

△한게임 창업과 NHN 합병

김범수 위원장은 서울대학교 졸업 후 삼성SDS에 다니고 있던 중 스타크래프트의 재미에 빠져 1998년 부업으로 PC방을 차렸습니다.

이후 회사를 회사 후배였던 남궁훈 카카오 대표와 함께 1999년 게임포털 '한게임'을 세웠습니다.

한게임은 웹상에서 게임을 그대로 실행하는 기술을 도입해 폭발적 반응을 이끌어냈습니다.

한게임은 세계 최초의 윈도우 기반 게임을 기반으로 단숨에 국내 최초의 게임포털로 자리잡게 됩니다.

한게임은 2000년 김범수 위원장의 삼성SDS 입사 동기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가 만든 네이버컴과 합병해 2001년 NHN이 출범, 2003년부터는 김범수 위원장이 NHN 단독대표를 맡았습니다.

2002년에는 NHN을 코스닥에 상장하는 데 성공했으며 2003년 NHN은 '지식in' 서비스를 통해 국내 포털 1위로 올라섰습니다.

김범수 위원장은 이해진 창업자와 경영에서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자 2007년사임을 발표하고 NHN을 떠났습니다.

카카오 설립, 모바일메신저 '평정'

김범수 위원장은 2006년 12월 카카오 전신인 아이위랩을 세우고 직원 수 10명 정도의 벤처기업을 꾸렸습니다.

아이위랩은 4년 가까이 성과를 못 내다가 2010년 3월 모바일메신저인 카카오톡을 출시했는데 출시 하루 만에 앱시장 1위에 오르며 가입자 3만 명을 모았습니다.

6개월 뒤 가입자가 100만 명을 넘어서자 김범수 위원장은 회사이름을 '카카오'로 바꿨습니다.

카카오톡은 2011년 4월 가입자 수 1천만 명을 돌파할 정도로 성장세가 빨랐습니다.

2년 만인 2012년 가입자 5천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간편인증과 연락처 기반 친구찾기, 세련된 디자인 등을 강점으로 한국 모바일메신저 시장을 평정한 것입니다.

카카오는 이후 카카오톡과 게임을 연결해 모바일게임 시장은 불과 몇 개월 만에 20배 이상 몸집이 불어났습니다.

뉴스, 음식 배달 주문하기, 장보기 등의 서비스도 카카오톡에 적용했습니다.

2014년 9월에는 카카오페이를 출시하며 전자결제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카카오페이는 기존 모바일결제의 복잡하던 결제단계를 간소화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2015년 4월 '카카오택시' 서비스를 시작해 이를 기반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연계(O2O) 사업을 확장하기도 했습니다.

카카오는 2014년 10월 다음커뮤니케이션과 합병하면서 '다음카카오'가 됐다가 1년 후에는 회사이름을 '카카오'로 바꿨습니다.

2015년 3월 스타트업 투자회사 케이큐브벤처스를 계열사로 편입해 신성장동력을 탐색하고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에 나섰습니다.

카카오는 김범수 위원장이 보유한 케이큐브벤처스 지분 100%를 인수했습니다.

2015년 8월 30대 중반의 임지훈 전 케이큐브벤처스 대표를 발탁해 다음카카오 단독대표를 맡겼습니다.

2015년에는 카카오뱅크가 인터넷은행 예비인가를 받았고, 2016년에는 음원플랫폼 멜론 운영사인 로엔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하면서 총자산이 5조 원이 넘어 공정거래위원회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김범수 위원장을 총수로 지정했습니다.

2017년 7월10일 코스닥에서 유가증권시장(코스피)으로 이전상장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카카오는 2021년 골목상권 침해 논란, 2022년 초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이사의 먹튀 논란, 2022년 중순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논란 등으로 바람 잘 날 없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총체적 위기 국면을 맞아 김범수는 2023년 11월 '은둔경영'을 끝내고 경영쇄신위원장 직함으로 내부혁신과 위기극복 작업에 뛰어들었습니다.

△경영쇄신위원장 맡아 비상경영회의 주관

김범수 위원장은 2023년 11월 카카오의 위기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경영에 복귀했습니다.

김범수 위원장은 2023년 11월6일 카카오 주요 경영진이 참석하는 '경영쇄신위원회'를 출범하기로 결정하고 직접 위원장을 맡아 주요 CEO들과 함께 카카오가 겪고 있는 위기상황을 모두 극복할 때까지 변화와 혁신을 이끌기로 했습니다.

김범수 위원장은 경영쇄신위 출범을 두고 "지금까지 각 공동체의 자율과 책임경영을 위해 권한을 존중해 왔지만 창업자이자 대주주로서 창업 당시의 모습으로 돌아가 위기 극복을 위해 앞장서 책임을 다하겠다"며 "이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이해관계자들을 직접 만나 소통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김범수 위원장은 12월11일 전 계열사 임직원 공지를 통해 "카카오의 기존 자율적 경영방침과 스톡옵션 제도, 수평적 기업문화, 카카오라는 사명까지도 바꿀 수 있다"면서 강력한 변화를 예고했습니다.

김 위원장과 주요 경영진 20여 명은 비상경영회의를 통해 혁신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룹 준법경영을 정착시키기 위해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준법과신뢰위원회'를 출범시켰으며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서비스 개선작업도 빠르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건사고

△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 승리와 '승자의 저주'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2023년 경영권 분쟁에 빠진 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에 참여했습니다.

하이브와 경영권분쟁을 통해 최종 승리자가 됐지만, 주가조작 의혹에 빠져 김범수 위원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이 검찰수사 대상이 되는 등 '승자의 저주'에 걸려들었습니다.

앞서 SM엔터테인먼트는 2022년 12월 라이크기획과 프로듀싱 계약을 종료했습니다.

SM엔터테인먼트 창업자이자 대주주인 이수만 프로듀서는 지난 2010년 등기이사직을 사임한 뒤 자신이 대표로 있는 라이크기획과 SM엔터테인먼트 사이 프로듀싱 계약만 남겨두고 있었습니다.

이 계약이 종료됨에 따라 이수만 창업주는 SM엔터테인먼트의 제작 전반에서 물러나게 됐습니다.

카카오는 2023년 초 이수만 프로듀서 퇴진을 주도한 이성수 대표이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경영권 확보에 나섰습니다.

카카오는 2023년 2월 유상증자와 전환사채 발행 등을 통해 SM엔터테인먼트의 지분 9.05%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에 이수만 프로듀서가 경영권을 되찾기 위해 경쟁사인 하이브를 끌어들이면서 카카오하이브 사이 경영권 대결이 벌어졌습니다.

하이브는 같은 해 2월 이수만 총괄프로듀서 지분 14.8%를 인수하고 카카오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한 공개매수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주가가 공개매수 가격 이상으로 뛰면서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이후 카카오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3월 공개매수를 진행해 성공하면서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을 확보하게 됐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습니다.

금융감독원이 하이브의 2023년 2월 주식 공개매수 당시 카카오가 주가조작을 통해 방해한 의혹을 제기하면서 검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카카오카카오엔터테인먼트 경영진 일부가 구속되는 등 카카오를 정조준한 검찰 조사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생애

김범수 위원장은 전라남도 담양에서 농사를 짓던 평범한 서민층 집안에서 2남 3녀 중 셋째이자 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부모님은 다섯 남매의 교육을 위해 무작정 서울로 이사를 왔습니다.

중학생 때 아버지가 정육 도매업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작은 집을 장만하기도 했지만 몇 년 지나지 않아 부도가 났고, 다섯 남매를 다 대학에 보낼 수는 없어서 결국 김범수 위원장혼자만 대학에 가게 됐습니다.

그래서 재수를 할 때는 혈서까지 쓰면서 독하게 공부해 86년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에 입학, 과외 아르바이트로 학비와 생활비를 충당하며 학교를 다녔습니다.

1992년 석사를 졸업한 후 전문연구요원으로 삼성데이타시스템(삼성SDS)에 입사했습니다.

1996년에는 PC통신 유니텔을 개발해 유니텔 에뮬레이터 유니윈2.0, 유니윈98의 설계와 개발을 맡았습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한양대 앞에서 전국 최대 규모의 PC방 '미션넘버원'을 운영해 성공시키고, PC방 사업으로 돈을 모아 게임회사 '한게임'을 세워 1년6개월 만에 회원 1천만 명을 모았습니다.

한게임을 이해진 네이버 창업주가 이끌던 네이버컴과 합병해 NHN을 만들어 네이버에 한게임을 무료로 제공하고 게임 속 물품을 판매해 수익을 크게 올렸습니다.

이해진과 의견 차이가 생기자 NHN 해외지사를 돌다가 회사를 나와 미국으로 떠났는데, 몇 차례 사업을 펼쳤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미국에서 아이폰을 보고 PC 웹의 시대가 저물 것으로 판단, 모바일 사업을 펼치기 위해 귀국하자마자 모바일메신저 카카오톡을 내놓아 폭발적인 가입자수를 기록했습니다.

카카오톡으로 회사를 키운 뒤 다음커뮤니케이션과 합병해 다음카카오 최대주주와 이사회 의장에 올랐으며, 합병 1년 뒤 회사이름을 카카오로 바꿨습니다.

김범수 위원장은 타고난 승부사 기질로 유명해 대학 시절부터 고스톱, 포커, 당구, 바둑 등을 즐겼습니다.

격식을 차리지 않고 소탈해 평소 티셔츠에 편한 바지를 입고 회사에 출근하며, 카카오는 설립 초기부터 영어 호칭을 도입해 친근한 기업 분위기 형성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김범수 위원장은 정보통신 업계의 거물이 된 서울대 벤처 1세대들과 친분이 깊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해진 네이버 창업주와 김정주 NXC 대표,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와 서울대 동문입니다.

김정주 대표, 이해진 GIO와 서울대 산업공학과 86학번 동기로 각별하며, 김택진 대표는 전자공학과 85학번으로 1년 선배입니다.

서울대 경영학과 90학번인 나성균 네오위즈홀딩스 대표와도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학력/경력/가족

학력 : 1986년 건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졸업
1990년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졸업
199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 석사

경력 : 1992년 3월 삼성SDS 입사
1998년 11월 삼성SDS 퇴사
1999년 한게임 설립
2000년 7월 네이버컴 공동대표이사 사장
2001년 11월 네이버컴-한게임 합병, NHN 공동대표 이사
2004년 1월 NHN 단독 대표이사 사장, 한국게임산업협회 회장
2005년 10월 NHN 글로벌 담당 대표이사
2007년 1월 NHN 미국법인 대표
2007년 8월 NHN 비상임이사
2010년 2월 카카오 전신 아이위랩 대표, 카카오 이사회 의장
2011년 11월 이석우 카카오 대표 선임
2014년 10월 다음카카오 이사회 의장
2015년 9월 사명 '카카오' 변경, 카카오 이사회 의장
2017년 2월 카카오브레인 대표이사
2018년 4월 사회공헌재단 카카오임팩트 이사장
2021년 6월 사회공헌재단 브라이언임팩트 이사장
2022년 1월 카카오임팩트 재단 이사장 사퇴
2022년 3월 카카오 이사회 의장 사퇴
2023년 11월 카카오 경영쇄신위원장


▲어록

"모든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 국민 눈높이에 부응하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준법신뢰위원회와 경영쇄신위원회를 통해 외부 통제도 받으며 빠르게 쇄신하겠다. 올해 말에 가시적인 방안을 내고 내년에는 본격적으로 많은 일이 일어날 수 있도록 달리겠다."
(2023년 11월, 3차비상경영회의)

"느슨한 자율 경영기조에서 벗어나 구심력을 강화하는 구조를 만들어 가겠다.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해 왔던 영어이름, 정보공유, 수평문화 등까지 원점에서 검토하고 새로운 카카오를 이끌어갈 리더십을 세워가겠다."
(2023년 12월, 본사 임직원간담회)

[ 황주윤 기자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