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의 자영업자(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11년여 만에 최고 수준으로 뛰어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오늘(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국내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0.54%로 전분기 말인 2023년 말 0.48%보다 0.06%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0.16%보다는 3배 이상으로 뛰어올랐으며, 1분기 말에는 2012년 12월(0.6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개인사업자들의 연체율이 많이 상승하고 있어서 걱정"이라면서 "고금리·고물가에 개인사업자들이 어렵다는 것은 다들 피부로 느끼는 건데 이에 더해 빚을 못 갚을 지경에 이르렀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취약차주에게 대출을 공급하는 저축은행의 대출 문턱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1분기 기준 저축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은 18조4천억원으로 전년(약 23조4천200억원) 대비 21% 감소했습니다.

지난 1분기 1천543억원 순손실을 낸 저축은행업권은 이자 비용 절감 차원에서 여·수신을 동시에 줄이고 있습니다.

이는 같은 기간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개인사업자대출 총액이 322조3천690억원으로 2.4% 증가한 것과 대조적입니다.

신용점수가 낮은 저신용자의 민간 중금리대출을 취급하는 저축은행은 감소하거나 아예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분기 기준 신용점수 501∼600점 이하 저신용자에게 민간 중금리대출을 취급한 저축은행 수는 11개사로 지난해 1분기(17개사)보다 6개사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500점 이하 저신용자에게 민간 중금리대출을 취급한 저축은행은 4개사에서 0개사로 사라졌습니다.

민간 중금리대출은 신용평점 하위 50% 차주에게 실행되는 대출로, 올해 상반기 17.5%의 금리 상단이 적용됩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한 2금융권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안 좋으니까 여신을 축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개인사업자들이 설 자리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 김우연 기자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