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자영업자들의 금융기관 대출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4년여간 50% 이상 늘었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2일 신용평가기관 나이스(NICE)평가정보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개인사업자 가계·사업자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현재 335만 9천590명의 개인사업자(자영업자)는 모두 1천112조 7천400억 원의 금융기관 대출(가계대출+사업자대출)을 안고 있었습니다.

코로나19 유행 직전 2019년 말(209만 7천221명·738조 600억 원)과 비교해 4년3개월 사이 대출자와 대출금액이 각 60%, 51% 늘었습니다.

특히 연체(3개월 이상 연체 기준)가 발생한 상환 위험 차주(대출자)의 전체 보유 대출 규모는 같은 기간 15조 6천200억 원에서 약 2배인 31조 3천억 원으로 뛰었습니다.

자영업자 대출액 가운데 2.8%가 위태로운 상태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최근 연체 차주의 대출 증가 속도는 더 빨라져 작년 3월 말(20조 4천억 원)과 비교해 불과 1년 사이 53.4% 급증했습니다.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최대한 빌려 추가 대출이나 돌려막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자영업 '다중채무자'의 상황은 더 나빴습니다.

3월 말 현재 전체 다중채무 개인사업자는 172만 7천351명으로, 전체 개인사업 대출자(335만 9천590명) 가운데 절반 이상(51.4%)을 차지했습니다.

이들의 대출잔액(689조 7천200억 원)과 연체 개인사업 다중채무자 대출잔액(24조 7천500억 원)의 비중도 전체 개인사업자 대출잔액과 연체 개인사업자 대출잔액의 각 62%, 79%에 이르렀습니다.

2019년 말(106만 6천841명·431조 3천100억 원)과 비교해 개인사업 다중채무자 인원과 대출 규모는 각 62%, 60% 뛰었으며 연체 다중채무 개인사업자의 대출잔액은 12조 1천200억 원에서 두 배가 넘는 24조 7천500억 원으로 늘었습니다.

1년 전(172만 3천562명·682조 8천600억원·16조 2천300억 원)보다는 각 0.22%, 1.00%, 52.5% 증가했습니다.

한은은 작년 말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높은 대출금리 부담이 지속되는 가운데 자영업자의 소득 여건 개선이 지연되고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경우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부실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 구민정 기자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