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공장에 주차된 레미콘 차량.[사진 연합뉴스]
시멘트 가격 인상을 두고 시멘트업계와 수요자인 레미콘·건설업계 간 견해차가 커 가격 인상을 둘러싼 협상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3일 국토교통부 주재로 시멘트 가격 인상 등에 대한 업계 의견을 듣기 위해 열린 회의에서 건설사 측은 시멘트 가격 인상 시 아파트 기준 평당 1만7천원의 비용 부담이 늘어난다며 가격 인상에 반대했습니다.

이날 회의에는 대한주택건설협회와 건설사 구매 담당자 모임인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건자회),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등이 참석했습니다.

건설업계는 이 자리에서 84㎡ 평형 1천82세대를 짓는 한 아파트 단지 공사 현장을 사례로 들며 일부 업체 예고처럼 시멘트 공급가가 t당 14% 오르면 공사비가 총 9억1천만 원이 더 들어간다는 추정치를 제시했습니다.

이 추정치에 따르면 시멘트 가격이 인상 시 레미콘 구입비는 원래보다 7억8천300만 원이 추가로 들어가고, 바닥 미장 등에 필요한 드라이모르타르도 7천300만 원을 더 부담해야 합니다.

세대수로 나눠 계산해보면 평당 1만7천300원씩 공사비가 늘어나는 셈이라고 업계 측은 설명했습니다.

또 시멘트나 레미콘, 드라이모르타르 같이 건물 공사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자재 외에 관자재나 보도블록 등 시멘트를 사용하는 다른 건설자재의 가격 인상도 불가피해 이차적인 원가 상승 부담도 발생한다고 업계 측은 주장했습니다.

건자회 한 관계자는 "지난해 이미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공사 원가가 20% 증가한 상황에서 이번에 원가가 또 늘어나게 되면 안 그래도 영업환경이 어려운 건설사들의 부담이 너무 커진다"고 말했습니다.

[ 김두현 기자 / kim.dooh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