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제공 |
다음 주(26~30일)는 반도체 관련 산업의 부진 속에 5월 산업생산이 전월보다 줄었을지 여부가 주목됩니다.
오늘(24일) 관련 부처 등에 따르면 다음 주 가장 주목할 경제지표는 30일 발표되는 통계청의 '5월 산업활동동향'입니다.
지난 4월에는 반도체 재고율이 급증한 가운데 산업생산이 전월보다 1.4% 줄면서 14개월 만의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습니다.
반도체발 산업활동 부진에서 얼마나 벗어났을지가 관건입니다.
5월 산업활동 지표는 2분기 성장률을 가늠하는 데에도 주요 잣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는 28일에는 통계청의 '4월 인구 동향'이 발표됩니다.
가임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인 합계출산율은 올해 1∼3월 0.81명을 기록했습니다.
1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였습니다.
저출산이 장기 성장력을 훼손하는 최대 리스크 요인으로 꼽히는 상황이라 4월 수치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한국은행은 28일 '6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합니다.
미래 인플
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서 기대인플
레이션율(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동향이 주목받습니다.
지난 5월의 경우 기대인플
레이션율이 3.5%로 지난해 5월(3.3%)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공공요금 추가 인상 가능성, 외식 등 서비스 가격 상승 등을 고려할 때 기대인플
레이션이 6월 조사에서도 계속 하락세를 유지할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