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눈치에 '인하·면제·혜택' 카드 꺼낸 은행권, 소비자 달래기에 집중

【 앵커멘트 】
지난해 성과급 '돈잔치' 논란에 선 은행권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센 가운데, 당국의 압박 수위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시중은행들은 지원대책 카드를 앞다투어 꺼내 놓으며 소비자 달래기에 나서고 있는데요.
어떤 지원대책을 마련했는지 손효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시중은행들이 금융소비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각종 지원정책을 발표하고 나섰습니다.

특히 대출이자 부담이 가장 큰 만큼 은행권의 대출금리 인하 행렬이 이어지는 모습입니다.

대출금리는 통상 자금조달비용지수, 코픽스에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정하는 가산금리를 더하고 우대금리를 뺀 값으로 결정됩니다.

KB국민은행은 지난달 28일부터 가산금리를 낮춰서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최대 0.55%포인트 인하했습니다.

우리은행도 지난달 21일 우대금리를 늘리는 방식으로 실질금리를 0.2~0.45%포인트 수준 인하한 바 있습니다.

또 다른 은행으로 돈을 보내거나, 대출금을 미리 갚을 경우 부과되는 수수료도 면제합니다.

지난 1월 신한은행을 시작으로 현재 5대 시중은행은 모두 모바일·인터넷뱅킹의 타행이체 수수료를 없앴습니다.

이들은 지난해 말 합의를 통해 취약차주의 중도상환 수수료도 1년간 한시적으로 면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취약차주를 대상으로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이나 프로그램도 속속 출시되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은 제2금융권 대출을 은행권 대출로 대환해주는 'KB국민희망대출' 상품을 이달 중 출시하고,

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은 특정 대출상품을 이용하는 취약차주에게 각각 포인트와 캐시백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은행이 '인하·면제·혜택' 등 3종 카드를 꺼내 든 것은 비판 여론을 의식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지난해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예대마진 확대로 역대급 실적을 거둔 은행들은 성과급 잔치를 벌인다는 비판에 직면하자,

지난달 3년간 10조 원 규모의 '사회공헌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차가운 분위기입니다.

은행권이 실제로 출연하는 자금은 7천800억 원뿐인데, 이 돈으로 늘어나는 보증과 대출 등 간접효과를 모두 포함해 10조 원으로 '부풀리기' 발표를 했다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소비자를 위해 은행권의 합리적인 사회 환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인터뷰(☎) : 하준경 /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
- "은행이 공적 성격이 강한 건 사실입니다. 지난해 금리가 급등할 때 이익을 많이 본 것도 소비자의 부담을 수반한 거잖아요. 다만 사회 환원도 정도의 문제가 있겠죠. 은행 입장에서 강압으로 비춰지는 경우에는 서비스를 줄이는 등…부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은행권이 내놓는 지원대책이 소비자들의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여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손효정입니다. [ son.hyojeo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