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부터 연애프로그램까지"…유튜브에 홀린 증권업계, 콘텐츠 다양화 '총력'

【 앵커멘트 】
증권사들이 계속되는 증시 부진에도 유튜브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강의부터 연애프로그램까지 콘텐츠 다양화에 총력을 다하고 있는데요.
잠재적인 투자자를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인 유튜브 채널 관리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조문경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기자 】
유튜브 영상을 통해 투자 정보를 제공하는 한 애널리스트.

실제 인간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음성과 AI기술로 실제 애널리스트를 복제한 가상인간입니다.

삼성증권은 지난해부터 유튜브에 가상인간 애널리스트를 앞세워 투자정보를 꾸준히 제공해 오고 있습니다.

메리츠증권 역시 강의시리즈를 선보이며 유튜브 활성화에 나섰습니다.

불확실성 장세에 주목받는 ETF와 투자자들이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ETN에 대한 강의로 구성됐습니다.

▶ 인터뷰(☎) : 김무건 / 메리츠증권 디지털마케팅 팀장
- "쉽게 상품의 특성과 구조를 이해하고 투자를 진행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드리기 위해 ETFN 강의 콘텐츠를 기획하게 됐습니다. 유튜브를 통해 잠재적인 고객들의 수요도 확보하고…."

이렇게 증권사들이 투자 정보 콘텐츠를 제공하는가 하면, 투자정보와 밀접한 관련이 없는 연애프로그램과 웹드라마까지 속속 내놓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연애프로그램 '영끌로맨스'를 공개했는데, 최근 누적 조회수가 200만 회를 넘어섰습니다.

시드머니인 다이아먼드를 운용해 데이트를 하고 가치관 포트폴리오를 통해 첫인상 선택을 하는 등 기존 연애프로그램과는 다르게 증권사의 정체성을 살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강민지 / NH투자증권 나무마케팅부 과장
- "공감할 수 있는 소재로 다가가 투자가 어렵다거나 일상과 동떨어진 개념이 아니라는 것을…(연애프로그램에) 투자의 정체성을 녹인다면 차별화된 콘텐츠를 어필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앞서 미래에셋증권은 웹드라마 '미래의 회사'를 선보인 바 있습니다.

유명인을 앞세워 유튜브 콘텐츠 강화에 나선 증권사도 나왔습니다.

KB증권은 유명 캐릭터 '펭수'를 PB로 출연시켜 다소 어려울 수 있는 금융 상품을 설명하는가 하면, 개그맨 문상훈이 연금강의를 진행하는 콘텐츠를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증시는 위축되어 있지만, 증권사들이 잠재적인 수요를 감안해 유튜브를 통한 고객 잡기에 힘쓰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증권업계가 각양각색의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이며 유튜브 경쟁력 강화에 힘쓰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눈길을 끌기 위한 콘텐츠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매일경제TV 조문경입니다.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