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과
제주항공이 오늘(22일) K-UAM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사업을 위한 기본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은 항공기 운항, 교통관리와 버티포트의 세 분야에 대한 통합운용 실증목적으로 진행됐으며, 2025년 K-UAM 사업이 본격적으로 상업화가 되기 전, 기체와 항공법의 안전성을 충분히 검증해 국내여건에 맞는 UAM분야의 기술, 성능, 운용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체결됐습니다.
협약식에는 국토교통부 원희룡 장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상률 원장,
대우건설 백정완 대표이사,
제주항공 김이배 대표이사가 참석했습니다.
또한 협약식에는 총 7개의 컨소시엄이 참여했으며, 각 컨소시엄은 2023년 8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전남 고흥의 UAM 전용 시험장에서 1차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1차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을 무사히 통과한 컨소시엄은 다가올 2024년 7월 2차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까지 참여하게 되며, 모든 그랜드챌린지 통합운용 실증이 완료된 기업에 한해 수도권과 지자체에서 UAM 시범노선 운영사업이 수행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대우건설은 7개 컨소시엄 중 유일하게 건설업계 주관사로 참여하게 됐습니다.
대우건설-
제주항공 컨소시엄에서
대우건설은 도심항공모빌리티(UAM)의 공항 역할인 버티포트 설계·시공·운영과 버티포트 내 구축될 교통관리 시스템 개발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대우건설-
제주항공 컨소시엄의 실증용 항공기는 미국회사인 베타테크놀로지의 ALIA-250을 이용할 예정입니다.
ALIA-250은 운전자 1인을 포함하여 총 6인이 탑승 가능한 기체로, 이번 그랜드챌린지 협약식에 참여한 7개 컨소시엄의 기체들 중 가장 규모가 큰 기체입니다.
백정완
대우건설 대표이사는 "K-UAM 산업에 큰 기대를 하고 있다"며 "
대우건설의 인프라 시설 설계·시공 능력의 특장점과
제주항공의 노하우를 통해 K-UAM 사업 상용화의 시너지를 높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김두현 기자 / kim.dooh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