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물가 상승/ 연합뉴스
최근 물가의 추세적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의 상승 폭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오늘(19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월 6.3%에서 8월 5.7%, 8월 5.6%, 10월 5.7%에 이어 11월 5.0%까지 점차 둔화하는 양상을 보여줬습니다.

그러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 상승률은 7월(3.9%)에만 해도 4%를 하회했지만, 8월 4%대에 진입한 뒤 11월(4.3%)까지 상승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의 영향이 없었다면 근원물가 상승 폭은 더 커졌을 것으로 보입니다.

관리물가 제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 상승률은 6월 4.6%에서 7월 4.7%, 8월과 9월 각 4.8%에서 이어 10월 5%, 11월 5.1%까지 높아졌습니다.

관리물가는 정부가 직간접적으로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품목을 대상으로 만든 물가지수로써, 전기·가스·수도 요금 등 필수재나 의료·교육·보육료, 휴대전화 요금과 같은 통신료 등이 포함됩니다.

우리나라는 소비자물가에서 관리물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데, 최근 관리물가를 제한하지 않았다면 물가 상승 폭은 더욱 커졌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민수정 인턴기자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