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이길 수록 시청률도 상승세
러시아 대회 준결승전보다 더 많이 봐
 |
프랑스가 준결승전에서 모르코를 꺾고 결승에 진출하자 선수들이 기뻐하고 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유럽 곳곳에서 2022 카타르 월드컵 개최를 앞두고 카타르의 인권침해를 규탄하며 월드컵을 보지 않겠다는 움직임이 있었다.
프랑스도 예외는 아니었다.
하지만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우승국 프랑스가 이번 대회에도 결승에 오르자 프랑스인들의 이같은 결심이 흔들리는 분위기다.
실제 개최전 많은 프랑스인들은 카타르 월드컵 보이콧을 결심했지만 막상 프랑스가 16강, 8강, 4강 등 우승에 한걸음씩 다가설 때마다 경기시청률은 높아지고 있다.
월드컵 경기를 중계하는 TF1 방송은 15일(현지시간) 트위터에 2069만명이 프랑스와 모로코가 맞붙은 준결승전을 시청한 것으로 집계됐다며 2016년 이후 최고의 성적이라고 밝혔다.
이는 4년 전 월드컵 4강전 프랑스와 벨기에 경기보다 159만명이 많은 것이라고 TF1은 설명했다.
당시 1910만명이 이경기를 시청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청률 조사기구 메디아메트리는 이번 준결승전 4세 이상 시청률이 66%로 집계됐으며, 25∼49세 남성으로 조사대상을 한정하면 81%까지 올라간다고 분석했다.
이는 올해 최고 시청률이다.
지난 10일 8강전 잉글랜드와의 경기는 1772만명(63%)이 경기를 시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 텔레비지옹 방송은 프랑스와 잉글랜드의 8강전을 앞두고 카타르 월드컵 보이콧을 결심했다가 다시 TV 앞에 앉게 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했다.
파리 생제르맹(P
SG)에 카타르 자본이 들어갔을 때부터 축구 관람을 끊었다는 미카엘 씨는 식당에서 우연히 월드컵 경기를 보고 나서 다시 시청하게 됐다고 털어놨다.
파누 씨 역시 프랑스와 잉글랜드 8강전 경기를 보고 싶다는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남편의 만류로 그동안 거리를 둬왔던 월드컵 경기를 보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프랑스가 19일(한국시간) 0시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를 제압하면 1998년, 2018년 이어 세 번째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린다.
또 이탈리아, 브라질에 이어 월드컵 2연패를 이룬 역대 세번째 나라가 된다.
이탈리아는 2회(1934년, 이탈리아), 3회(1938년 프랑스) 때 우승했고 브라질은 6회(스웨덴·1958년), 7회(1962년·칠레)에 잇따라 우승 트로피를 가져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