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24가 NFT(대체 불가능 토큰, Non-Fungible Token) 기술을 전자상거래에 본격 도입합니다.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
카페24는 15일 NFT 전문 기업들과 함께 전자상거래 분야 NFT 성공전략을 웨비나(Webinar, Web+Seminar)에서 공개했습니다.
카페24는 블로코, 매스어답션, 갤럭시아넥스트 등 NFT 기술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해 나갑니다.
블로코는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로부터 2년 연속 '블록체인 PaaS(서비스형 플랫폼) 부문 주요 기업'으로 선정됐고, 매스어답션은
LF몰과
카카오 계열사인 그라운드X 등 다양한 기업의 협력사입니다.
갤럭시아넥스트는 서울문화재단 공공사업 참여로 '서울예술인NFT'를 발행했습니다.
이날 웨비나에서는 각 기업의 전문가들이 온라인 사업자가
카페24 플랫폼에서 쉽게 사용 가능한 NFT 서비스와 실제 성공 사례를 다양하게 발표했습니다.
김종환 블로코 대표는 자사 NFT 서비스 'CCCV'로 실제 성장 효과를 본 기업 사례를 전했습니다.
CCCV는 상품 구매 고객에게 쇼핑몰에서 NFT를 자동 지급하는 기능이 특징입니다.
한복 브랜드 리슬은 일정 금액 이상 구매자에게 CCCV로 NFT를 발급해 객단가가 크게 오르는 성과를 얻었습니다.
김 대표는 "리슬의 NFT 마케팅 ROAS(광고비 대비 매출액)는 1420%를 기록했다"며 "리슬과 수이스킨처럼 실제 비즈니스 현장에서 다양한 브랜드가 NFT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는 추세"라고 설명했습니다.
매스어답션은 사업자가 고객에게 상품 정보를 담은 NFT 디지털 개런티를 쉽게 발급하는 서비스다인 '버클'을 소개했습니다.
판매 상품의 신뢰도를 높이려는 기업 수요가 늘면서 최근 반년 간 버클을 통한 디지털 개런티 발급은 6만건을 넘어섰습니다.
갤럭시아넥스트에서는 온라인 사업자가 지적재산권(IP)을 활용한 이미지·동영상 파일로 NFT를 제작 및 판매하는 과정을 선보였습니다.
현석원 갤럭시아넥스트 매니저는 "필요할 경우 NFT를 대량으로 동시 발송하고 상품권 용도의 활용까지 가능하다"며 "이렇게 사업자의 NFT 활용 폭이 확대될수록 소비자는 재미를 느끼고 브랜드 소속감까지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카페24는 다양한 NFT 전문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온라인 사업자들이 손쉽게 신기술을 비즈니스에 접목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이재석
카페24 대표는 "충성도 높은 진성고객 확보는 온라인 브랜드의 비즈니스 성장에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며 "사업자 누구나 NFT로 고객 소통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기술 연구에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