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택 현덕지구 위치도./사진제공=경기경제청 |
[경기=매일경제TV] 14년째 표류 중인 평택 현덕지구 개발을 위해 개발방식부터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은 평택 현덕지구 개발을 위해 당초 민간개발형식으로 '중국성개발'을 사업시행자로 지정했으나 자금조달문제로 지정취소했습니다.
이후 지난 2020년 대구은행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해 민관이 함께 추진하려 했지만 보상절차 미 개시로 지난달 자격을 취소했습니다.
현덕지구 개발사업이 또다시 좌초한 셈입니다.
서현옥(민·평택3) 의원은 오늘(14일) 경기경제자유구역청 행정사무감사에서 "14년째 지지부진한 현덕지구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지거래규제로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며 "계속된 개발악재로 현덕지구 개발사업이 언제쯤 정상궤도에 오를 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현덕지구 개발사업 정상화를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해 주민들이 장기간 겪은 불이익을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현덕지구 개발방식을 민관공동에서 공공주도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김규창(국·여주2) 의원은 "현덕지구 개발사업 추진방식을 민간주도나 민관공동 방식으로 추진하려다 14년째 표류 중"이라며 "개발방식을 공공주도로 변경하는 것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조언했습니다.
또 "역대 청장의 임기가 너무 짧아 업무 일관성을 해치고 있는 만큼 관련 사업을 추진력 확보를 위해 청장과 직원의 임기를 보장하는 인사정책도 필요하다가"고 주문했습니다.
[김정수 기자 / mkkjs@mkmoney.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