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적자/ 연합뉴스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최근 한국의 무역적자 폭이 6개월간 60억 달러 늘어났다는 국책연구원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준형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오늘(26일) "올해 2~3분기 글로벌 달러화 강세가 전반적인 교역을 위축시킨 가운데 한국의 무역수지 적자를 60억 달러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밝혔습니다.

2000년~2021년을 분석한 결과 원화 가치의 하락은 단기간(1년 뒤) 달러 기준 수출입금액을 모두 줄였으나 수입금액 감소 폭이 더 컸습니다.

원화 가치 하락에 따른 수출품의 가격 하락은 조정을 겪지만,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수입 물량은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중기적으로는(2년 뒤) 수출 물량이 늘어 달러 기준 수출 금액이 점진적으로 늘어났으며, 수입금액의 감소세는 둔화했습니다.

이는 원화 가치 하락이 수입금액 감소 등을 통해 무역흑자 폭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그 영향은 중기로 갈수록 수출금액 증가 등을 통해 커진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달러 가치가 다른 모든 통화 대비 상승하는 경우 단기적으로는 수출입물량을 크게 줄여 달러 기준 수출입금액이 모두 감소했습니다.

달러 가치가 오르면 각 국가의 자국통화 기준 가격이 상승하면서 수입 물량이 줄어드는데, 이는 한국의 입장에서 수출의 감소를 뜻합니다.

즉 글로벌 달러화 강세는 수출 둔화 등을 통해 무역적자 확대에 기여하게 되는 것입니다.

다만 달러 가치 상승에 따른 수출입 영향은 시간이 지날수록 약화돼, 중장기적으로 기업이 환율 변동에 대해 가격을 조정하게 돼 결제 통화의 중요성을 떨어트립니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해 달러화 가치가 급등하기 시작한 지난 2분기부터 살펴보면, 3분기까지 원달러 환율의 변동은 무역수지 적자 폭을 20억달러 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한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달러 대비 환율 변동은 같은 기간 무역적자 폭을 80억달러 확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따라서 글로벌 달러화 강세로 인해 무역적자는 60억 달러 확대됐다는 게 보고서의 결론입니다.

또한 중기적으로 봤을 땐 이 기간 환율의 변동은 지난 2분기부터 2024년 2분기까지 2년간 무역적자를 68억 달러 줄일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 민수정 인턴기자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