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덕도신공항이 들어설 부산시 강서구 가덕도 전경 [매경DB] |
현대건설의 공사 불참으로 개항 지연이 불가피해진 가덕신공항 건설사업이 또다른 난관에 봉착했다.
부지 원주민들이 토지 보상액수가 적다며 반발하고 있다.
1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가덕도 대항청년회와 가덕도 주민 200여명은 지난 10일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앞에서 집회를 열고 보상금 현실화, 구체적 이주대책 수립, 지속 가능한 생계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집회 참석 주민들은 “이주대책도 생계 대책도 전혀 없는 상황이며, 제시된 보상금으로는 가정을 유지하거나 이주조차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대부분의 원주민들과 달리 투자 목적으로 가덕도 해안가로 이주한 외지인 중 일부는 이미 토지 보상금을 수령한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시는 연내 보상을 마무리하기 위해 2023년 12월부터 5개월간 기본조사를 실시했다.
작년 6월 토지 소유자와 관계인 사전 열람·확인하고, 같은해 7월에는 보상계획 열람·공고 등 절차를 시행했다.
이후 평가법인 3곳을 선정해 올해 4월까지 토지·물건에 대해 감정평가를 했고 지난달 5일부터 손실보상 협의를 시작해 다음 달 8일까지 진행한다.
 |
가덕신공항 조감도 [사진 = 국토교통부] |
다만 원주민 200여명이 이번 토지 손실 보상액을 수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만큼, 향수 추진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다음달 8일까지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중앙토지수용위원회가 감정평가를 다시 해야한다.
이럴 경우 6개월가량의 추가 보상 기간이 소요된다.
이주대책을 담당하고 있는 가덕신공항 건설공단은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이르면 9월 말 이주지를 결정해 주민들에게 안내문을 보낼 예정이다.
사업시행자(토지보상법 제78조)는 주택, 택지 등 부동산을 공급하는 이주대책을 수립하거나, 이주정착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선택할 수 있다.
가덕도 이주대책은 이주정착금 형태가 아닌 이주지 내 토지를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주택지로는 에코델타시티와 가덕도 내 독뫼산로 압축되고 있다.
또다른 집회 참석 주민은 “골목 하나를 두고 평당 보상금이 3배 정도 차이가 난다”며 “60년 평생 가덕도에 사신 분들은 가덕도 내에 남아 있고 싶어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 이 돈으로 이주택지에 땅을 사지도 못하고 건물을 지을 수도 없어 이주가 현실적으로 불가능 상황”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