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디자인은 호평, 가격은 여전히 부담…외신이 평가한 갤럭시 언팩 2025

삼성전자는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신제품 공개 행사 ‘갤럭시 언팩 2025’에서 신형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폴드7 및 플립7을 전 세계에 소개했다.

사진은 신제품 체험공간 행사장 입구. [사진출처=연합뉴스]

삼성전자가 ‘갤럭시 언팩 2025’에서 신제품 폴더블폰을 전격 공개한 가운데 외신들의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9일(현지시간)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신제품 공개 행사 ‘갤럭시 언팩 2025’에서 하반기 신제품을 대거 공개했다.

이번 언팩 행사에서는 갤럭시 Z 폴드7, Z 플립7, 플립7 FE(팬에디션), 갤럭시 워치8 시리즈가 베일을 벗었다.


삼성은 인공지능(AI) 기능과 한층 세련된 디자인을 전면에 내세우며 폴더블폰과 웨어러블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외신은 이번 갤럭시 언팩 2025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로 폴더블폰의 디자인 혁신을 꼽았다.


IT 전문매체 테크레이더(TechRadar)는 “갤럭시 Z 폴드7이 기존 폴더블폰보다 훨씬 얇아지고(접었을 때 8.9mm), 무게도 215g으로 줄어 휴대성이 크게 향상됐다”며 “삼성은 최신 플립 폴더블 폰으로 모든 면에서 혁신을 이룬듯하다”고 평가했다.


CNN 역시 “폴드7의 슬림한 디자인과 가벼운 무게가 실제 사용에서 큰 차이를 만든다”며 “삼성이 갤럭시 Z폴드6보다 26% 더 얇고 10% 더 가볍다고 발표했을 때는 그다지 인상적이지 않았지만 갤럭시 Z폴드7을 직접 만져보니 정말 특별했다”고 극찬했다.


실제 이날 공개된 갤럭시 Z 폴드7은 전작 대비 두께와 무게를 대폭 줄이면서도 강력한 내구성과 높은 성능을 구현했다.


접었을 때 두께가 8.9㎜로 일반적인 바(Bar) 형태의 스마트폰 두께와 크게 다르지 않다.

펼쳤을 때 두께는 4.2㎜로 일반 스마트폰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무게는 215g으로 전작보다 24g 줄어 갤럭시 플래그십 모델 S25 울트라(218g)보다 가벼워졌다.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하반기 ‘갤럭시 언팩 2025’에서 관람객들이 신제품을 체험하고 있다.

[사진출처=삼성전자]

다만 일각에서는 가격 인상과 일부 기능 축소에 대한 아쉬움의 목소리도 나왔다.

폴드7의 출고가는 전작 대비 100달러 오른 1999달러(약 270만원)로 책정됐다.

플립7은 1099달러로 동결됐지만 플립7 FE 모델이 899달러에 출시되며 선택지는 넓어졌다.


폰아레나는 “혁신의 대가로 가격이 너무 높아졌다”며 소비자 부담이 커질 수 있음을 우려했다.


S펜 지원이 폴드7에서 제외된 점, 배터리 용량이 전작과 동일한 4400mAh에 머문 점도 아쉬운 부분으로 꼽혔다.

그동안 폴드 일부 모델에서 수요가 있었던 S펜 지원이 이번엔 제외됐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구글과의 협업으로 AI 개인화 기능이 강화됐지만 S펜 미지원 등 일부 기능 축소가 아쉬움으로 남는다”고 평가했다.


일부에서는 트리폴드폰 등 새로운 폼팩터의 공개가 없었던 점에 대한 아쉬움을 표했다.


테크레이더는 “삼성의 트라이폴더블폰 공개가 없었던 점에 실망했다”며 “그동안 높아진 혁신적 폼팩터에 대한 기대가 있었던 만큼 이번 행사에서 새로운 형태의 제품이 등장하지 않은 점이 눈에 띄었다”고 평가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