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주적금 출시 7년만 3000만좌 돌파
1분마다 8개 이상 계좌가 만들어진 셈

■ “한 번 써본 사람은 또 써요” ... 1분당 8개씩 가파른 증가세
카카오뱅크가 ‘26주적금’의 누적 개설 계좌수가 출시 7년 여 만에 3000만 좌를 넘어섰다고 10일 밝혔다.


카카오뱅크는 지난 2018년 6월 소액 적금이 가능해 부담이 적으면서도 짧은 시간 동안 저축에 대한 습관을 기를 수 있는 26주적금을 선보였다.


해당 상품은 출시 1년 9개월 만에 500만 좌, 2년 5개월 만에 1000만 좌, 5년 만에 2000만 좌를 달성하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다 출시 7년 만인 올해 3000만 좌를 돌파했다.

이는 1분마다 8개 이상의 26주적금 계좌가 새로 개설된 셈이다.


특히 지난 한 해에만 총 514만 좌가 신규 개설돼 출시된지 7년이 지났음에도 고객들이 많이 찾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카카오뱅크는 26주적금 상품의 인기 비결이 지루하게 느껴지던 저축 과정을 카카오프렌즈 캐릭터와 함께 ‘게임’에 도전하듯 재밌게 풀어낸 것이라고 보고 있다.

고객들은 소액으로 도전을 시작한 뒤 매주 납입 금액을 늘려 저축하게 되며, 납입 성공 여부에 따라 캐릭터 도장을 받을 수 있다.


‘26주’라는 짧은 저축 기간도 장점이다.

통상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기다려야 하는 상품으로 여겨졌던 적금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고객들이 짧은 저축 과정을 통해 성취감과 도전 의식을 느낄 수 있도록 기간이 26주로 단축됐기 때문이다.


실제 26주적금 고객의 재가입율은 6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주적금에 가입한 경험이 있는 고객 5명 중 3명 이상이 26주적금을 다시 찾아 도전을 이어나갔다.


26주적금 가입 고객의 연령대별 비중은 지난 6월말 기준 20대 이하 25.5%, 30대 31.2%, 40대 26.3%, 50대 이상 16.9%로 집계됐다.

출시 초기에는 소액 재테크를 선호하는 20, 30대 고객 비중이 높았으나 다양한 제휴사와의 파트너적금이 출시됨에 따라 40, 50대 고객까지 전 연령대로 고객층이 확대됐다.


성별 비중으로는 여성 고객이 남성 고객보다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카카오뱅크 전체 고객 중 남녀 비율은 거의 동일한데 반해 26주적금의 경우 여성 고객이 65.9%, 남성 고객이 34.1%로 집계돼 큰 차이를 보였다.


‘저축의 즐거움’에 ‘합리적 소비 혜택’ 더해 ... 파트너적금 누적 640만 좌 개설
카카오뱅크는 지난 2020년 ‘26주적금 with 이마트’를 시작으로 유통, 라이프스타일, 콘텐츠, 편의점 등 다양한 업계의 파트너사와의 제휴를 통해 ‘파트너적금’을 출시한 바 있다.


‘파트너적금’은 ‘생활 속 금융 혜택 확대’를 목표로 26주적금의 일정 적금 회차 납입에 성공할 경우 파트너사의 쿠폰·캐시백 등 다양한 혜택을 추가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지난 한 해 동안에만 약 120만 좌가 신규 개설되며 누적 개설 계좌수 640만 좌를 넘겼다.


저축의 재미뿐 아니라 파트너사의 각종 혜택이 인기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파트너적금’은 은행과 커머스를 결합하는 카카오뱅크만의 대표 상품으로 자리잡았다.

맥도날드, 투썸플레이스 등 요식업 브랜드부터 현대백화점그룹, 카카오페이지, GS칼텍스 등 다양한 업권의 파트너사까지 제휴하며 총 17개의 ‘파트너적금’이 출시됐다.


카카오뱅크의 ‘파트너적금’은 최근 해외에서 금융 트렌드로 자리잡은 ‘선저축 후소비’의 대표적인 국내 사례로도 평가된다.

‘파트너적금’을 활용하면 26주 동안 계획적인 저축을 실행하고, 저축액을 기반으로 제휴사 혜택을 적용해 더욱 건전한 소비 형태를 이어나갈 수 있게 된다.


카카오뱅크는 “저축의 즐거움과 함께 일상 속 다양한 혜택들을 제공한 결과 3천만 좌가 개설된 서비스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높은 편의성을 바탕으로 고객들이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