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금융그룹이 지난 한 해 그룹의 E
SG 경영성과 및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4년 통합연차보고서'를 발간했다고 오늘(10일) 밝혔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그룹 차원의 E
SG 전략 수립 이후, 실제 계열사 이행 성과를 중심으로 기후리스크 통합 관리체계 구축, RE100 기반 재생에너지 조달 이행, 사회공헌 성과의 정량적 측정, E
SG평가 개선 등 비재무성과 전반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특히, JB금융그룹은 E
SG위원회를 포함한 이해관계자 설문을 통해 그룹 E
SG 내재화 전략의 핵심 축으로 '기후변화 대응', '지역사회 참여', '금융소비자 보호', '리스크 관리' 등 4대 핵심 중대 이슈 (Material Topics)를 선정했고 이에 대한 전략과 실행 결과를 중심으로 이번 보고서를 구성했습니다.
또한, 이러한 E
SG 성과는 제3자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고, GRI, SASB, IFRS S1·S2등 글로벌 기준에 따라 공시됐습니다.
실행 측면에서는 은행권 최초로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이 재생에너지 직접전력거래(PPA) 계약을 체결하고, 민간 RE100 시장을 겨냥한 전용 대출상품을 출시해 녹색금융 확대에 기여했습니다.
해당 상품은 공급사와 금융기관 간 협업 구조를 통해 국내 RE100 수요기업의 탄소중립 실현을 지원하는 대표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회 분야에서는 '씨앗봉사단'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기반 사회공헌 사업을 고도화 시킨 부분을 강조했습니다.
2024년 그룹 핵심 사업의 사회적 임팩트는 약 47억7천만 원으로 사회적투자수익률(SROI)은 1.8배로 측정됐습니다.
JB금융그룹은 지난해 국내 E
SG 평가기관인 한국E
SG기준원(KCGS)으로부터 통합 등급 A등급을 획득했고,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에서 코리아 지수(Korea Index)에 편입되면서 국내외 가장 공신력 있는 E
SG 평가기관으로부터 우수한 E
SG경영 역량을 인정받아 왔습니다.
JB금융그룹 관계자는 "급변하는 금융 환경 속에서 대한민국 최고의 강소 금융그룹이라는 정체성을 지키며 금융을 통한 사회적 변화를 선도하기 위해 노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