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이 인공지능(AI)·바이오·반도체 등 분야에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 등 해외 유수 연구기관과 공동 연구개발(R&D)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다.


11일 중소벤처기업부는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기술협력 확대와 해외 시장 진출 촉진을 위해 '2025년 글로벌협력형R&D' 신규 과제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글로벌협력형R&D는 올해 처음 도입된 R&D 프로그램으로,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MIT(미국), 퍼듀대(미국), 프라운호퍼연구소(독일), 슈타인바이스재단(독일) 등 해외 선도 연구기관과 공동 R&D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3년간 최대 15억원의 R&D 자금을 지원해 글로벌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할 기반을 마련하게 한다는 구상이다.


중기부는 AI, 바이오, 반도체 등 10대 초격차 분야를 중점적으로 49개 과제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프라운호퍼연구소, 퍼듀대 등 글로벌 선도 연구기관별 강점 분야를 분석하고, 각 기관과 사전 협의를 통해 공모대상 과제에 대한 R&D 제안서 총 215개를 도출했다.

지원기업은 이 R&D 제안서 중 과제를 선택할 수 있다.


지원 유형은 사전기획형, 수요연계형, 자유공모형, 예비연구형 총 네 가지로 구분된다.

사전기획형, 수요연계형 등 기관협력 트랙은 최종 지원물량의 2배수 내에서 후보기업을 선별하고, 약 6개월간 사전기획을 지원한다.

이 중 우수한 기획과제를 대상으로 글로벌 협력 R&D를 본격적으로 지원한다.


글로벌협력형R&D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오는 16~30일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서정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