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전북대 제출 신설안 승인
2026학년도 학부생 20명 모집
 |
전북대학교 로고 |
전북대학교(총장 양오봉)가 방위산업 관련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국내 첫 학부 ‘첨단방위산업학과’를 2026학년도부터 운영한다.
교육부는 전북대가 제출한 첨단방위산업학과 신설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전북대는 20명 정원의 첨단방위산업학과 학부생을 모집할 예정이다.
방위산업학과는 석·박사 과정으로 개설된 적은 있으나, 학부과정에서 신설은 전북대가 처음이다.
전북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미중 패권 경쟁 심화,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에 따른 방위비 분담금 증액 압박 등 글로벌 안보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면서 “각국의 국방비 증액과 이에 따른 방위산업 수출 확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학과 신설 취지를 설명했다.
한국 방위산업 수출 규모는 최근 5년간 5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전북대는 “K방산은 높은 가성비와 빠른 납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함정 협력 요청 등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면서 “수년 내 반도체와 자동차 등이 포함되는 13개 국가 주력산업 진입이 유력한 분야”라고 강조했다.
전북대는 ‘글로컬 대학30’ 사업의 중장기 계획으로 새만금 지역을 K방산 육성의 전진기지로 조성하기 위한 다양한 산학협력과 인재 양성을 추진해왔다.
이를 위해 방위사업청을 비롯해 한국방위산업진흥회,
LIG넥스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등과 긴밀히 협력하며 지난해 국내 최초로 ‘방위산업융합전공’을 설립하는 등 연구와 인력 양성에 앞장서 왔다.
방위산업융합전공에는 10여개 관련 학과(신소재공학부 금속시스템공학 전공, 기계공학과, 물리학과,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양자시스템공학과, 유기소재섬유공학과, 토목자원에너지공학부, 자원에너지공학전공, 신소재공학부 전자재료전공, 화학공학부 등)가 참여해 학과 간 연계를 통한 심도 깊은 교과목 운영과 실험실습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공학, 과학, 기술뿐 아니라 경제·경영, 사회·인문, 외국어 등 다양한 학문 분야가 참여하는 교과과정 공동 운영협의체를 구성하고, AI와 로봇, 반도체 등 주요 공학 분야 전문가 트랙도 함께 운영할 예정이다.
양오봉 총장은“이번 첨단방위산업학과 신설을 통해 우리 전북대학교가 K방산 전문인력 양성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며, “첨단 신기술 중심의 융·복합적 교육을 통해 방위산업 분야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 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인재를 적극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