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뭘 안 해도 되는 서울, 뭘 해도 안되는 지방”…아파트 청약 ‘극과 극’

서울의 한 분양 아파트 외벽에 특별할인을 홍보하는 분양광고가 나붙어 있다.

[한주형 기자]

분양시장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방 아파트 미분양 문제로 건설사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서울과 일부 공공택지 아파트에는 청약자가 몰리고 있지만 그 외 지역은 청약 미달이 속출하며 양극화는 더욱 심화하면서다.


8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입주자모집공고를 거쳐 청약받은 민영 분양 아파트 단지는 총 43곳으로 총 1만8020가구가 일반분양됐다.


공공과 임대를 합하면 분양물량은 총 2만7685가구다.

다만 지난해 같은 기간 4만7399가구에 비하면 2만가구가량 부족한 수준이다.


지방 미분양이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공급 실적이 부진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건설업계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사업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청약 쏠림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심화하고 있다.

부동산R114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기준 올해 1∼4월 청약을 받은 전국 43개 단지 가운데 1순위 마감에 성공한 단지는 40%에 못 미치는 17곳에 불과하다.

2순위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한 곳도 절반에 가까운 21곳에 달했다.


일례는 지난 2월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서 분양된 ‘래미안 원페를라’는 1순위 평균 경쟁률이 151.62대 1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으나 지방 아파트는 상당수가 2순위 청약에서도 모집 가구 수를 채우지 못했다.


대통령 탄핵과 장밋빛 대선 등 정치적 변수까지 겹치며 건설사들은 분양 일정 조정이 불가피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대선이 끝나는 올해 6월 이후부터 분양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부동산인포가 집계한 6월 분양 물량은 일반 분양가구 수 기준으로 총 1만9428가구(전체 2만8000가구)다.

5월 계획에서 이월되는 물량이 더해지면 예상보다 많은 물량이 분양 시장에 나올 수 있다.


변수는 대선 이후 시장 분위기다.

획기적인 지방 미분양 해소 대책이 나오지 않는 한 서울 아파트나 수도권 공공택지에만 청약자들이 몰리는 양극화도 지속될 수 있다는 평가다.


건설업계는 올해 하반기 분양이 본격화해도 작년에 이어 분양 실적 감소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은 총 25만가구로 일반분양 가구 수는 16만가구에 그쳤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올해는 건설사의 연초 계획물량부터 작년보다 적은 상황이어서 지방 시장이 회복되지 않는 한 분양 물량 감소가 불가피해 보인다”며 “신축 물량 감소에 따른 공급 부족 여파로 새 아파트 선호와 강세는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