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호적인 환율에 해외 완성차 생산 증가 효과”
현대글로비스가 올해 1분기 영업이익 5019억원을 달성해 역대 분기 기준 최고치를 새로 썼다.
다만 미중 관세 전쟁 등 불확실성이 2분기부터 반영될 예정인 만큼
현대글로비스는 비계열사 물량 확대 등 매출처 다변화에 공을 들이겠다고 밝혔다.
현대글로비스는 올해 1분기 매출액 7조 2234억원, 영업이익 5019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7%, 30.4% 늘어났다.
영업이익률은 6.9%를 기록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번 분기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데 대해 “우호적인 환율 상황과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 역량”이라고 설명했다.
현대글로비스는 크게 물류, 해운, 유통 3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이 중 실적이 가장 크게 개선된 분야는 해운 사업이다.
이 분야는
현대글로비스가 자동차운반선(PCTC)를 통해 차량을 글로벌 시장으로 운반하는 사업에 해당한다.
해운 사업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 2570억원, 137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9.2%, 66.3% 늘어났다.
현대글로비스는 “비계열 매출 확대가 본격화하면서 수익성 확보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외에 유통 분야는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3조 5084억원, 16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 38.1%늘었다.
현대글로비스는 “해외공장 완성차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반조립부품(C
KD) 물량이 늘었고 우호적인 환율 영향이 더해졌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