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챗GPT 생성 이미지] |
서민들의 급전 대출 수단으로 활용되는 카드론 금리가 2022년 말 '레고랜드 사태' 당시 수준에 육박하며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주요 카드사의 3월 카드론 금리 평균은 연 14.83%로, 지난 2월 말(14.64%)보다 0.19%포인트 올랐습니다.
작년 같은 달(14.46%)과 비교해도 0.37%포인트 상승한 수치이며, 2022년 12월(14.8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특히 기준금리는 두 차례 인하됐음에도 카드론 금리는 오히려 상승해 저신용자를 중심으로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900점 초과 고신용자의 카드론 금리는 1년간 동일했지만, 700점 이하 저신용자의 평균 금리는 같은 기간 0.32%포인트 상승한 17.66%를 기록했습니다.
카드론 이용자 절반 이상은 다중채무자인 만큼, 금리 상승이 지속되면 저신용자들이 제도권 금융에서 밀려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작년 말 기준 카드사의 연체율은 1.65%로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리스크 요인이 커지고 있습니다.
카드업계는 가계대출 총량 규제를 지키기 위해 금리를 높여 잔액을 조절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금리를 높이지 않으면 규제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며 "당분간 금리 인하나 취급 확대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조달금리는 낮아졌지만 연체율이 높고 대손비용도 늘고 있어 금리 인하가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지난달 말 카드론 잔액은 42조3천720억원으로,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방안 시행 등 영향으로 전월 대비 약 6천억원 감소했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