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보건산업 분야 수출액이 252억6천만달러를 기록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달성했다. 화장품 분야 수출액은 처음으로 100억달러를 돌파했습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11일 '2024년도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작년 실적은 전년 218억1천만달러에서 15.8% 늘어났으며 분야별로는 화장품 수출액이 101억8천만달러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의약품 92억7천만달러, 의료기기 58억1천만달러 순이었습니다.

의약품·화장품 분야 수출액은 전년 대비 각각 22.7%, 20.3% 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보건산업 수출 총액은 역대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가장 많았던 시기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체외진단기기 수출이 급증했던 2021년(254억달러)이었습니다.

보건산업 수출 상위 5개 품목은 기초화장용 제품류(76억5천만달러), 바이오의약품(55억1천만달러), 색조화장용 제품류(13억5천만달러), 임플란트(8억8천만달러), 초음파 영상진단기(7억9천만달러)입니다.

주요 수출국은 미국(43억2천만달러), 중국(35억4천만달러), 일본(20억9천만달러), 헝가리(12억9천만달러), 베트남(9억4천만달러) 등이었습니다.

이 중 헝가리로의 수출액은 전년도에는 3억4천만달러에 불과했지만 1년 만에 4배 가까이 급등했습니다. 헝가리로의 바이오의약품 수출이 전년 대비 300% 늘어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세부 분야별로 보면 화장품 분야에서는 기초·색조·인체세정용 제품류 수출이 전년보다 각 19.7%·28.9%·30.8% 증가했습니다. 이런 추세에 힘입어 화장품 수출액은 작년 처음 100억달러를 돌파했습니다.

중국은 전년에 이어 화장품 수출 1위 국가였지만 비중은 32.8%에서 24.5%로 줄었습니다. 대신 미국 비중은 14.3%에서 18.7%로, 일본 비중은 9.5%에서 10.2%로 늘었습니다.

의약품 분야에서는 바이오의약품이 수출액 증가를 견인했습니다. 바이오의약품은 생물체 유래 원료로 제조한 약을 말합니다.

바이오의약품 수출액은 2023년도에는 39억달러였으나 작년엔 55억1천만달러를 기록하며 의약품 분야 수출의 59.5%를 차지했습니다.

진흥원은 이 같은 성장세는 한국 기업의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의료기기 수출액은 전년 대비 0.4% 늘어났슨비다. 가장 비중이 큰 임플란트 수출액이 전년 대비 11.2% 증가했습니다. 미국은 전년도에 이어 의료기기 수출 1위국을 유지했습니다.

이병관 진흥원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2024년 보건산업 수출이 코로나 엔데믹 이후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성장세는 올해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미국의 관세 정책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대외 무역 환경에 대한 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 이명진 기자 / pridehot@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