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부자도시 24위로 큰 폭 하락”…정치상황·자산가 유출이 원인

서울 여의도 증권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지난해 전 세계 가장 부유한 50대 도시 가운데 서울이 가장 큰 폭으로 순위가 하락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해 순위는 24위로, 전년도 19위에서 5계단 내려간 것이다.

원화 가치 하락과 고액 자산가의 유출 및 정치적 상황 등이 주요 이유로 꼽혔다.


10일(현지시간) 영국 투자이민 컨설팅 업체 헨리앤드파트너스와 자산 정보업체 뉴월드웰스의 ‘가장 부유한 50대 도시’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서울에 사는 백만장자 수는 6만6000명으로 전년(8만2500명)보다 줄었다.


이 통계에서 백만장자는 상장사 주식과 현금 보유액·암호화폐 등 ‘투자 가능한 유동 자산’이 미화 100만달러(작년 말 환율로 약 14억7000만원) 이상인 사람을 가리킨다.

부동산은 제외된다.


서울에서 이같은 자산이 1억달러(작년 말 환율로 약 1470억원) 이상인 억만장자는 148명으로, 전년(195명)보다 줄었다.


백만장자 수를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증가율은 17%에 그쳤다.

전년도(2013∼2023년) 증가율 28%보다 크게 낮아진 것이다.


보고서를 발행한 연구팀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며 원화 가치 하락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한 연구진은 “2024년 미 달러 대비 한국 원화는 꽤 큰 절하를 겪었다”며 “이는 미국 달러를 기준으로 하는 우리 통계에서 중요한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달러 기준 코스피 지수는 한 해 동안 20% 이상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또 연구진은 “많은 수의 고액 자산가가 나라 밖으로 빠져나갔다”라고도 분석했다.


헨리앤드파트너스가 별도로 발표한 지난 2024년 국가별 백만장자 순유출 추정치에서도 한국은 1200명으로, 중국(1만5200명)과 영국(9500명), 인도(4300)명에 이어 세계 4번째로 많았다.


이 밖에도 연구진은 “이와 같은 모든 요인에 있어 정치적 상황과 시위는 분명히 주요 동인이었다”라고 지적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세계 최고 부자 도시는 미국 뉴욕시(38만4500명)였다.

이어 샌프란시스코 베이지역(34만2400명), 일본 도쿄(29만2300명), 싱가포르(24만2400명), 미국 로스앤젤레스(22만600명) 순이었다.


한편, 런던은 21만5700명으로 처음으로 5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테크 부문에서 미국 장악력이 커지고,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와 높은 세금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