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항공우주국의 랜드샛 위성이 지난 4일 촬영한 경북 산불 피해 지역. [사진 출처 = 미국항공우주국] |
지난달 말 서울 면적의 80%에 해당하는 산림을 태워버리고 일주일여 만에 진화된 경북지역 산불이 땅에 남긴 상흔을 위성이 포착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8일(현지시각) 지구관측위성 랜드샛9호가 촬영한 경북 산불 피해 지역 위성 사진을 공개했다.
지난 4일 촬영한 이 사진에는 동-서로 80km 이상에 걸쳐 불에 탄 지역이 다른 지역과 대비돼 선명히 드러나 있다.
위성에 탑재된 대지이미지센서(OLI-2)로 촬영한 이 사진은 단파장 적외선, 근적외선, 가시광선 파장으로 촬영한 것을 합쳐 완성했다.
색상은 실제 색상이 아니라 불에 타지 않은 지역(녹색)과 불에 탄 지역(갈색)을 대비하기 위해 임의로 입힌 것이다.
 |
산불 피해 지역 중 청송군 일대를 확대한 사진. [사진 출처 = 미국항공우주국] |
이번 산불은 지난달 22일 경북 의성군 3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뒤 강한 바람을 타고 다음날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인접 지역으로 급속히 번져갔다.
강한 서풍을 타고 동쪽으로 산불이 삽시간에 확산하면서 내륙에서 해안에 이르는 동서 80㎞ 지역이 화마에 휩싸였다.
특히 25일엔 순간 풍속이 초속 27m에 이르는 강풍이 불어 피해가 더욱 커졌다.
28일 비가 내린 것을 계기로 주불이 잡히기 시작해 8일만에 산불은 모두 진화됐지만 4만8천㏊의 산림이 불에 타고 수십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정부는 주택, 산림, 농작물, 문화재를 포함해 1조원이 훨씬 넘는 재산피해가 났을 것으로 보고 경북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
2021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공군기지서 아틀라스5호 로켓에 실려 발사되는 랜드샛 9호 위성.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2021년 발사된 랜드샛9호 위성은 고도 700㎞의 극궤도를 돌면서 8일 주기로 지구의 동일한 지역을 재방문해 해상도 30m의 정밀도로 관측할 수 있다.
극궤도란 지구의 남극과 북극을 따라 도는 궤도를 말한다.
지구 전체를 주기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성의 주된 임무는 산림, 농작지, 도시, 해안선 등 지구 표면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랜드샛은 1972년 시작된 미국 정부의 장기적인 지구 관측 프로젝트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