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성과급 2700만원 제안 수용
“경영 안정화 필요” 공감대 형성
13일까지 조합원 찬반 투표 진행
현대제철 노사가 임금협상 및 단체협약에 잠정 합의하면서 지난해 9월부터 이어진 6개월여간 노사 갈등이 정리될 조짐이다.
그간 성과급 문제로 노사가 치열하게 대립해왔지만 양측이 어려운 철강업계 경영환경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며 잠정 합의가 성사된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 노사는 이날 오전 임금 10만1000원 인상과 함께 성과급으로 통상급 450%+1050만원 지급 등에 잠정 합의했다.
노조는 이날부터 오는 13일까지 해당 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 투표를 진행한다.
조합원 투표에서 합의안이 가결되면
현대제철은 지난해 9월부터 이어온 2024년 임단협 교섭을 마무리하게 된다.
앞서
현대제철 노사는 성과급 문제 등으로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갈등을 지속해 왔다.
노조가 부분 파업을 진행하자 사측은 창사 이후 처음으로 당진공장 일부에 대한 직장 폐쇄를 단행하기도 했다.
9일 재개된 임단협에서 사측은 성과급을 기존 최종안에서 50만원 인상한 ‘통상급 450%+1050만원(약 2700만원)’으로 변경해 제시했다.
또 추가로 임금 10만1000원 인상안도 제시했다.
앞서 노조는 계열사인
현대차·
기아 수준인 ‘통상급 500% + 1800만원(약 4000만원)’ 수준의 인상을 요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전날 임단협에서 사측이 발전된 추가안을 제시하고 노사가 철강업황 악화와 경영 안정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잠정합의에 따라 회사 정상화도 기대된다.
특히 2분기는 각종 건설사업이 진행되면서 철강업계 성수기로 불린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1분기 실적은 파업 영향이 있겠지만 앞으로 봉형강 성수기 효과 등으로 실적 회복이 전망된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