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넬도 여기서 사면 더 고급져”…‘90년 역사’ 제일은행 터에 명품 랜드마크

90년 역사 제일은행 구 본점
2015년 신세계 매입 뒤 복원

샤넬 매장부터 역사관∙정원도
韓 전통문화 카페와 기프트숍

본관·신관까지 아울러 ‘명동타운’

신세계백화점이 옛 제일은행 본점을 매입해 10년간 쇼핑과 문화의 복합 공간으로 공들여 단장한 ‘더 헤리티지’가 9일 개관했다.

더 헤리티지로 새롭게 태어난 옛 제일은행 본점 건물은 지난 1935년 준공돼 1989년 서울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사진은 이날 신세계 더 헤리티지 내부 전시관의 모습. [한주형 기자]

일제강점기 때부터 지금까지 90년간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을 담아온 서울 명동의 옛 제일은행 본점이 최고급 백화점으로 거듭났다.


신세계백화점이 옛 제일은행 본점 건물 복원 작업을 10년간 진행해온 끝에 역사·쇼핑·문화를 결합한 신개념 공간을 완성했다고 9일 밝혔다.

신세계백화점은 이곳을 개장과 함께 ‘더 헤리티지’로 명명했다.


기존 신세계백화점 본점 신관은 패션·식음료 중심의 ‘디 에스테이트’로 지난달 탈바꿈 했다.

본관은 명품·잡화 중심의 ‘더 리저브’로 올 하반기에 재단장을 마칠 예정이다.

신세계는 본관·신관에 ‘더 헤리티지’까지 3개 건물을 모아 일종의 ‘명동 타운’으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더 헤리티지로 문을 연 옛 제일은행 본점은 지하 1층~지상 5층 건물이다.


1935년 조선저축은행(제일은행 전신).
이곳은 일제강점기인 1935년 조선저축은행(SC제일은행 전신) 본점으로 문을 열었다.

국산 화강석을 사용해 마감한 네오바로크 양식의 건물로 6·25전쟁 때에도 큰 피해를 입지 않고 준공 당시 모습을 보존했다.

1987년 제일은행 본점이 종로구 공평동으로 이전한 이후 일선 지점으로 사용되다가 2015년 신세계에 매각됐다.


국내 건물 중 최초로 국제 현상 설계를 거쳤고, 철골·철근 구조를 가진 첫 은행이라는 점에서 건축사적 가치가 커 1989년 서울시 유형문화제 제71호로 지정됐다.


임차로 점포를 운영하던 제일은행이 완전히 철수한 2017년 초 이후 신세계는 1935년 준공 당시와 90% 이상 동일한 수준으로 건물을 복원했다.

30차례 이상 국가유산위원회 위원의 자문을 거쳤으며, 1층 천장의 꽃문양 석고 부조를 복원했다.


준공 당시 설치된 금고 문 원형을 4층 역사관으로 옮겨 전시했다.

1994년 공사에서 변형됐던 엘리베이터 홀과 계단실의 화강석 마감재도 준공 당시와 같은 타일 마감 형태로 복원했다.


신세계백화점이 옛 제일은행 본점을 매입해 10년간 쇼핑과 문화의 복합 공간으로 공들여 단장한 ‘더 헤리티지’가 9일 개관했다.

더 헤리티지로 새롭게 태어난 옛 제일은행 본점 건물은 지난 1935년 준공돼 1989년 서울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사진은 이날 신세계 더 헤리티지 내부 전시관의 모습. [한주형 기자]

더 헤리티지에는 신세계만의 현대적 해석도 가미했다.

남측 커튼월은 미국 뉴욕의 ‘더 모건 라이브러리’에서 영감을 받아 흰색 철판으로 제작했고, 옥상에는 정원을 조성했다.


옥상 정원이 있는 5층에는 ‘하우스 오브 신세계 헤리티지’가 들어섰다.


한국식 문화와 생활을 체험할 수 있는 원데이 클래스나 강연을 열고, 디저트 카페를 운영한다.

신세계 상품본부 산하 한식연구소가 자체 개발한 한국식 디저트와 음료를 맛볼 수 있다.

강남점에서 처음 선보인 후 흥행에 성공한 공간 브랜드 ‘하우스 오브 신세계’를 본관에 새로운 형태로 이식한 것이다.


지하 1층에는 이 같은 한국적인 문화를 담은 공예 기프트숍이 들어섰다.

프랑스 크리스털 브랜드 ‘라리끄’와 ‘바카라’, 명품 식기 ‘크리스토플’, 덴마크 오디오 브랜드 ‘뱅앤올룹슨’ 등 하이엔드 브랜드들도 입점했다.

블랙 다이아몬드 등급 이상 고객용 ‘더 헤리티지 발렛 라운지’도 자리 잡았다.


박주형 신세계백화점 대표와 클라우스 헨릭 베스터가드 올데거 샤넬코리아 대표가 신세계백화점 본점 ‘더 헤리티지’가 개관한 9일 오전 ‘더 헤리티지’ 옥상 공간을 둘러보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새로 개관한 더 헤리티지 1~2층에는 럭셔리 브랜드 샤넬이 건축 디자이너 피터 마리노가 설계한 국내 최대 매장이 입점했다.

[사진 = 뉴스1]

1~2층은 샤넬이 차지했다.

샤넬과 오래 협력해온 피터 마리노가 매장 설계를 맡았다.

더 헤리티지의 역사적인 요소를 보존하면서 샤넬 특유의 현대적인 요소와 세련미를 조화시켰다.

이곳에는 판매용 제품뿐만 아니라 70점 이상의 예술 작품, 오브제와 가구도 전시한다.


3층은 올 하반기 오픈을 목표로 하고 있고, 4층에는 역사관과 갤러리가 들어섰다.

역사관에는 한국 유통의 태동기를 함께한 신세계가 소장한 유물과 사료를 디지털로 변환해 보여준다.

추후 설치미술, 미디어 전시 등 현대미술까지 분야를 넓혀 소개할 계획이다.


신세계는 더 헤리티지와 올해 하반기 재단장을 마칠 본관 ‘더 리저브’까지 한데 모아 ‘명동 타운’을 본격 출범할 계획이다.

더 리저브에 국내 최대 규모 루이비통과 에르메스 매장을 열 예정이다.

외국인 관광객 방문이 잦은 명동과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본점의 외국인 구매 고객 수는 전년 대비 2022년 241%, 2023년 514%, 지난해 458% 등 매년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박주형 신세계백화점 대표는 “신세계백화점 본점은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쉬는 공간으로, 관광의 즐거움과 쇼핑의 설렘, 문화의 깊이까지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서울의 대표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