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드레일 충돌 후 폭발 사고로 전기차가 전소한 모습. [사진 출처 = 웨이보 캡처] |
중국에서 샤오미 전기차에 타고 있던 여대생 3명이 숨진 사고 이후, 자율주행 보조 기능과 관련해 안전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7일 홍콩명보 등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밤 10시 44분께 안후이성의 한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운전자는 대학 동창 2명을 태운 채 샤오미 SU7 전기차를 몰고 퉁링 구간을 지나고 있었다.
당시 이 구간은 공사로 인해 차로 일부가 폐쇄된 상태였다.
장애물을 감지한 차량은 알림을 울렸고 속도를 줄였다.
이에 운전자도 수동으로 차량을 감속했지만 결국 가드레일과 충돌했다.
장애물 경고음이 울린 뒤 충돌까지 걸린 시간은 2초에 불과했다.
사고 전 차량은 시속 116㎞로 달리고 있었고 자율주행 보조 기능(NOA)을 작동시킨 상태였다.
사고 직후 차량 배터리가 폭발하며 차체에 불이 붙었고 3명 전원이 사망했다.
 |
샤오미 전기차 화재 사고 이후 중국 고속도로에 자율주행 보조 기능 경고등이 등장한 모습. [사진 출처 = 바이두 캡처] |
이후 사고 구간에는 ‘전방 터널,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 사용 시 주의’ 경고등이 등장했다.
이 밖에도 현지 네티즌들은 이 고속도로에 “운전자는 스마트 운전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안전이 제일입니다” 등의 문구가 적힌 LED 경고등과 표지판이 생겼다며 이를 공유했다.
이 사건을 두고 중국의 자동차 업계는 그동안 스마트 드라이빙 기능 경쟁으로 인해 안전 문제가 소홀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스마트 주행 보조 기술이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그 본질은 보조 운전이지, 자율주행이나 무인 운전은 아니”라며 “주관 부처와 차량 제조사 등 모두가 스마트 운전의 기술 표준과 안전 운전 규범에 대한 교육을 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 사고와 관련해 레이쥔 샤오미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월 웨이보에 “매우 무거운 마음을 느낀다”며 “그들의 가족에게 가장 깊은 애도와 진심 어린 위로를 표한다”고 전했다.
또 사고 조사에 적극 협력하겠다는 입장을 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