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의 한 은행영업점에 주택담보대출 안내문이 걸려있다. [이승환 기자] |
연초 뒷걸음쳤던 금융권 가계대출이 주택거래 회복, 금리 인하 등과 함께 지난달 4조원 넘게 다시 늘었다.
12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의 ‘가계대출 동향’ 자료에 따르면 금융권 전체 2월 가계대출 잔액(1672조원)은 전월보다 4조3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1월 10개월 만에 9000억원 줄었다가 한 달 만에 도로 늘었다.
은행(3조3000억원↑)과 2금융권(1조원↑) 불었고, 2금융권 중에서도 특히 상호금융권(8000억원↑)의 증가 폭이 컸다.
대출 종류별로는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사이 5조원 늘어 전월(3조2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커졌다.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6000억원 줄었지만, 1월(4조1000억원↓)과 비교해 감소 폭이 축소됐다.
같은 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서 2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4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1월 말보다 3조3000억원 큰 규모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07조7000억원)이 3조5000억원 늘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5조1000억원)은 2000억원 줄었다.
작년 12월 이후 3개월째 감소세다.
한은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완화로 최근 서울 아파트 가격의 오름폭이 커지고 거래량도 늘고 있다”면서 “서울 아파트 월 거래량이 작년 말 거시건전성 정책 등의 영향으로 3000가구까지 떨어졌지만, 2월에는 3000가구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집값 상승의 지속기간, 지역 확대 범위, 금융권 대출 태도 등 가계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다”면서도 “금리 수준이 지금처럼 전반적으로 내려가면 대출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부와 함께 유의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