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집값, 또 올랐어?...최고가 거래 늘었다는 서울 대장지역은

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 46%
종전 최고가 90% 이상서 거래
강남·서초, 30% 이상이 최고가 경신
외곽 지역은 거래 부진… 양극화 심화

서울 주요 자치구 종전 최고가 대비 매매가격 수준별 거래 비중 [제공=직방]
올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의 절반 가량이 종전 최고거래 가격과 비교해 90% 이상의 가격 수준에서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강남구와 서초구는 2025년 매매 거래 중 30% 이상이 종전 최고가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됐다.


1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의 아파트 매매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 2025년(1월~2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5983건 중 2759건(46%)은 종전 최고가(2006년~2024년)와 비교해 90%이상의 가격 수준에서 거래된 것으로 조사됐다.


종전 최고가의 80~90% 미만 가격선에서 거래된 비중도 33%를 차지했다.

부동산 거래시장이 위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지만 지난해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했던 점을 감안하면 여전히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종전 최고가 대비 90% 이상 수준에서 거래된 비중은 서초구(87%), 강남구(86%), 마포구(73%), 용산구(70%), 양천구(65%), 송파구(63%), 성동구(63%), 광진구(56%), 종로구(52%), 영등포구(52%), 강동구(51%) 순이었다.


이중 강남구(39%)와 서초구(34%)는 매매 거래 중 종전 최고가를 경신한 비중이 30%를 넘어섰다.

올해에만 래미안대치팰리스(84.99㎡), 래미안원베일리(116.92㎡), 압구정현대2차(196.84㎡) 등이 주요 단지들이 신고가를 경신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직방 관계자는 “학군, 인프라, 교통 등 주거 선호도가 높은 강남권에서 신축 단지와 고급 아파트를 중심으로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며 “한강 조망이 가능한 로얄동과 희소성이 높은 고급 주택에 대한 선호가 뚜렷해지면서 해당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노원구(10%), 도봉구(13%), 강북구(15%), 금천구(15%), 관악구(16%), 성북구(18%)는 전고점 대비 90% 이상 수준에서 거래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도봉구(30%)와 노원구(29%)는 고점 대비 70% 미만 수준의 가격에 거래된 비중이 올해에만 3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거래허가지역 해제 발표 이후 강남권의 상승세는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강남권과 같은 인기 지역에서는 수요가 집중되며 가격 상승을 지속적으로 견인하고 있지만 외곽 지역은 여전히 거래가 위축된 상태”라며 “서울 부동산 시장은 전반적인 회복 기미를 보이기보다는 국지적인 상승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