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상승 거래 비중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9일) 부동산R114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올해 1∼2월에 계약된 아파트 중 55%가 지난해 11∼12월의 거래 가격보다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10∼11월 대비 상승 거래 비중이 50%였던 것에 비해 5%포인트 증가한 수치입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은 지난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억제 등으로 거래량과 가격이 일시적으로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올해 들어 시중은행의 대출 재개와 오세훈 서울시장의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방침 발표 등으로 가격 상승세가 다시 확산하는 모습입니다.
또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도 대출 금리 하락에 따른 가격 상승 효과를 더하고 있습니다.
구별로 살펴보면 상승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서초구로 나타났습니다.
서초구는 1∼2월 거래의 71%가 직전 두 달의 거래 가격보다 높게 거래됐습니다.
이는 신속통합기획 재건축 추진 단지와 한강변 신축 아파트들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서초구 외에도 관악구(69%), 광진구(68%), 마포구(65%), 송파구(63%) 등도 상승 거래 비중이 높았습니다.
반면, 강북 지역인 노원구, 도봉구, 성북구 등은 상승 거래 비중이 낮았으며, 이들 지역에서는 주로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노원구는 상승 거래 비중이 40%로 25개 구 중 가장 낮았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2월에 급증했으며, 2월 7일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총 3,859건으로, 1월 거래량(3,327건)을 이미 초과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3,844건) 거래량도 넘어서며,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전인 지난해 8월(6,535건) 이후 6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큽니다.
한편, 올해 아파트값 상승에 따라 서울 아파트 직거래 비중은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11월과 12월 직거래 비중이 각각 6%와 11%로 증가했으나, 올해 1월과 2월 직거래 비중은 3%로 줄어들었습니다.
직거래는 주로 저가 양수도나 증여성 거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시세보다 낮은 금액으로 거래가 이루어질 경우 증여세 부과를 피할 수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