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말 153만가구
전체 주택比 7.9%
경기도·경상도 順
 |
경북 성주군에 있는 빈집 [매경DB] |
전국적으로는 100가구 가운데 8가구가 빈집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지방 위주로 빈집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5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이 통계청 주택총조사를 토대로 발표한 ‘연도별·지역별 미거주 주택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빈집 수는 2023년 말 기준 153만4000가구다.
이는 전년 대비 약 5.7%, 2015년 대비로는 43.6% 늘어난 수치다.
전국 빈집 수는 2015년 106만8000가구에서 2016년 112만가구, 2017년 126만4000가구, 2018년 141만9000가구, 2019년 151만7000가구로 늘어났다.
그러다 주택가격이 상승세를 보인 2021년에는 139만5000가구로 줄었으나 2022년부터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전체 주택 중 빈집 수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2015년 6.5%에서 2019년 8.4%로 치솟았다.
2021년 7.4%로 떨어졌지만 2022년 7.6%, 2023년 7.9%로 다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전체 빈집 가운데 18.6%를 차지했다.
이어 경남 8.7%, 경북 8.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경기도 내에서는 평택의 빈집 비율(11.2%)이 가장 컸고 화성(8.1%)과 부천(6.3%), 수원(6.1%), 남양주(5.0%) 순으로 집계됐다.
인구 대비 빈집 수 비율을 보면 전국 기준 인구 1000명당 빈집 수는 29.9가구로, 2015년(1000명당 20.7가구)보다 늘었다.
전남(67.2가구·이하 1000명당 기준)과 강원도(54.0가구), 충남(53.1가구)의 인구수가 적은 비수도권의 ‘인구 대비 빈집 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주택 수 대비 빈집 수 비율이 높았던 경기도의 경우 인구수가 많은 영향으로 인구 대비 빈집 수는 21.0가구로 적은 편이었다.
서울이 1000명당 11.5가구로 가장 적었다.
경기도에 이어 전체 주택 수 대비 빈집 수 비율이 높았던 경남과 경북은 인구 1000명당 빈집 수가 각각 40.8가구, 50.5가구로 나타나 인구 대비해서도 빈집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정연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방치되는 빈집은 주변 주택까지 영향을 끼치며 ‘빈집화’할 가능성이 크고, 이는 안정상의 문제와 도시 슬럼화 문제, 이로 인한 범죄 우발지역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다”면서 “지자체가 지역 내 빈집을 지자체 공유재산으로 편입한 뒤 정비·리모델링을 거쳐 저소득층과 청년층 임대주택으로 활용하거나 용도를 상업용으로 전환해 저렴한 대부료로 지역 사회에 기여하는 방은 등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